-
-
더 찬스 The Chance - 당신에게 찾아올 부의 대기회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7
김영익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5월
평점 :
우울한 예언과 반전의 기회
책을 선택한 이유
경기는 사이클이 있다.
호경기만 있을 수 도 없고 불경기만 계속되지도
않는다. 호경기에 대한 기대에 못 미쳐도 경기는
회복과 악화를 반복한다.
닥터 둠은 경기 비관론을 펼치는 경제학자를
말한다. 카산드라 콤플렉스에 빠져
경기 비관론에 대한 관심을 갖더라도
경기 비관론을 외면하는 이중적 태도를 지니는
사람들이 많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 상황의 전망과
대처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더 찬스"를 선택하였다.
"더 찬스"는
1부 부의 대전환이 온다
2부 글로벌 환율 전쟁과 투자 찬스
3부 저성장 시대의 생존법
4부 주가와 집값은 어떻게 될까?
로 구성되었다.
1부 부의 대전환이 온다 의
언제나 위기는 온다 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역사를 돌아보고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기 회복에 감추어진
재정 확대와 가계 부채 증가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거품의 생성과 붕괴 에서는
마샬케이와 주가를 분석하고,
물가 상승의 원인을 생각해 본다.
연준의 기준금리 정책 변화와
한국의 자산 가격의 적정 여부에 대해
생각해 본다.
세계 경제는 어디로 가는가 에서는
과거 거품 경제를 살펴보며, 유로존, 일본의
경제 상황과, 우리나라의 대외의존도와
세계 경제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지는 미국, 뜨는 아시아 에서는
미국에서 중국으로 수출 비중이 늘어나면서,
중국 의존도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 경제의 성장 이유, 중국 경제의 미래,
경제와 인구의 관계, 우크라이나 사태의 영향
한국의 물가 상승과 정책 방향을 생각해 본다.
2부 글로벌 환율 전쟁과 투자 찬스 의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환율 전쟁 에서는
환율 전쟁의 본질, 각국의 환율 정책,
기축통화를 꿈꾸는 중국의 야심을 살펴본다.
격변의 시기, 환율 전망 에서는
향후 달러 가치, 원화 가치를 예상해 보고,
달러와 금의 관계를 살펴본다.
기회는 아시아에 있다 에서는
중국 금융시장의 미래, 중국 경제의 구조조정,
인도와 베트남 시장, 미래 발전 산업에 대해
생각해 본다.
3부 저성장 시대의 생존법 의
저성장, 저금리 시대 에서는
선행지수순환변동치. 한국은행 경제 전망과
실제 수치의 차이를 살펴보고,
한국 경제의 성장 능력 감소를 우려한다.
한국 경제의 어제와 오늘 에서는
계단식으로 하락하는 한국의 경제 성장률,
소득불균형 해소, 경제성장률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 한국 수출동향,
잠재성장률 저하 이유를 알아본다.
저금리 시대를 살아가는 법 에서는
개인 저축 증가와 소득 불균형,
기업 가계 대출 수요 감소가 은행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생각해 본다.
저성장, 저금리 시대의 근로소득의 중요성,
금리 인상과 자산 가격, 채권과 주식시장의
변화를 예측해 본다.
4부 주가와 집값은 어떻게 될까? 의
배당 투자가 답이다 에서는
주가와 명목 GDP, 수출 금액보다 앞선 주가,
배당 투자, 선행지수와 물가 상승률을 통한
주식투자 비중 조절에 대해 이야기 한다.
부동산은 불패(不敗)일까 에서는
서울과 지방의 부동산 가격 격차,
인구 고령화, 투자재에서 소비재 전환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본다.
자산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 에서는
한국의 가계 자산에서 금융자산 비중은 낮다.
미국 주식시장 투자, 국민연금의 문제점,
주식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알아본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질서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에서는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 ESG 경영,
산업의 심화, 포스트 코로나에 살아남는 기업에
대해 생각해 본다.
중소기업들은 고객의 개인화 수요를 충족해서
성장할 것을 권한다.
"더 찬스"에서는
팬데믹 이후 경제 침체에서 부의 대전환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기회를 예상한다.
글로벌 환율 전쟁, 저성장 시대,
주가와 집값으로 투자 방향을 예측한다.
1부 부의 대전환이 온다 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물가 상승, 세계 경제,
미국과 중국의 경제 상황, 우크라이나 사태 등을
살펴보며, 한국의 경제 정책 방향을 생각해 본다.
2부 글로벌 환율 전쟁과 투자 찬스 에서는
각국의 환율 정책, 달러와 원화 가치 변화,
달러와 금의 관계를 살펴본다.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가 있음을 말한다.
3부 저성장 시대의 생존법 에서는
선행지수순환변동치 등을 통해 본
한국 경제의 성장 능력 감소 문제는
사회적 대타협을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잠재 성장률을 올릴 수 있음을 지적한다.
미래 먹거리가 될 산업, 저성장, 저금리 시대
생존방법과 채권과 주식시장의 변화를
이야기 한다.
4부 주가와 집값은 어떻게 될까? 에서는
배당 투자, 주식투자 비중, 인구 고령화와
부동산 가격 변화, ESG 경영 등에 대해
설명한다.
"더 찬스"를 통해 코로나 팬데믹 이후
세계 경기 변화의 흐름을 알 수 있었고
향후 경제 상황의 변화에 어떠한 전략으로
대처해야 할 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카산드라는 운명을 예언할 수 있었지만
아무도 귀 담아 들어주지 않았으며
불길한 운명에 희생되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경제 상황을 예측하고
준비할 때라는 생각이 든다.
21세기 북스와 문화충전 서평단에서
"더 찬스"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