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 - 글로벌 화장품 강국을 향한 여정의 시작
박종대 지음 / 경향BP / 2022년 5월
평점 :
품절


한국의 화장품 산업을 알아보자






책을 선택한 이유




K뷰티는 한국에서 제조된 화장품과 화장품 산업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화장품을 제대로 만들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국산품 애용 운동 시절, 외국산 화장품을 사지 말고


조악한 국산 화장품을 사라는 것은 단골 레퍼토리 였다.



한류 열풍을 타고 전세계로 우수한 화장품을 수출하는


K뷰티 산업의 성장은 놀랍다.



K뷰티 산업의 현황과 미래를 배우기 위해


"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선택하였다.





"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는



1장 화장품 시장 규모와 프리미엄 채널


2장 면세점과 화장품 


3장 매스티지: 지는 채널과 뜨는 채널


4장 국경을 넘는 K-뷰티


5장 화장품 밸류체인과 브랜드 사업


6장 케이스 스터디: 로레알 vs. 아모레퍼시픽


7장 ODM과 용기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


8장 결론: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현재와 전략 방향


으로 구성되었다.







1장 화장품 시장 규모와 프리미엄 채널 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연 평균 10% 이상 성장해 온


화장품 산업에 사기꾼이 많은 이유를 살펴보고,



한국 화장품 시장의 규모와 주요국 화장품 시장


규모를 알아본다.



백화점 1층을 화장품이 차지하는 이유와


화장품 업종 프리미엄의 특성을 패션 업종과 


비교해서 알아본다.



방판 채널 등 인적 판매 전략에 대한 경쟁사의


상반된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2장 면세점과 화장품 에서는



면세점 산업은 일반 유통 채널과 다르며


중국인 비중이 매우 크다.



호텔 업계에서 면세점을 하는 이유,


백화점과 면세점의 비즈니스 모델 차이,


중국 인바운드 패키지와 면세점의 입지,


면세점의 매출과 수익 구조,


인천공항면세점에 입점하려 하지 않는


이유를 소개한다.



한국 면세점 산업의 시대별 변화를 알아보고,


2005년부터 현재까지 상황을 분석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면세점 상황을 예측해 본다.




한국 면세점, 여행사, 따이공 간 협상 주도권 변화, 


글로벌 브랜드의 입장 등을 알아본다,



면세점 산업에 대한 몇 가지 의문 사항을 정리한다.





3장 매스티지: 지는 채널과 뜨는 채널 에서는



잘 나가던 원브랜드숍이 몰락한 이유를 알아본다.



한국 화장품 시장은 2003년 부터 큰 변화를 겪는데,


밸류체인 , 홈쇼핑, H&B 스토어, 온라인 유통시장,


신규 벤처 브랜드, M&A, ODM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4장 국경을 넘는 K-뷰티 에서는



2013년 부터 화장품 무역수지는 흑자로 돌아선다.


K뷰티의 해외 수출, 중국 화장품 시장의 특징,


중국 화장품 시장의 방향성, 소비 시장 이슈,


중국 시장에서 K-뷰티 경쟁력의 지속 가능성을


알아본다.




5장 화장품 밸류체인과 브랜드 사업 에서는



한국 화장품 산업 밸류체인의 특징을 


시장점유율, 진입 장벽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한국 화장품 산업은 중국 소비자에 대한 브랜드력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브랜드 업체의 수익성, 소비재 브랜드 사업의 연속성,


브랜드 프리미엄, 럭셔리와 중저가 브랜드의 차이,


해외 진출과 브랜드력, 제품 믹스 전략을 생각한다.




6장 케이스 스터디: 로레알 vs. 아모레퍼시픽 에서는



글로벌 1위 화장품 브랜드 로레알의


전략적 M&A, 변화 대응 전략을 살펴본다.




한국 최대 화장품 브랜드 아모레퍼시픽의 


원브랜드숍 , 방판 시장, 중국 진출 전략 등을


소개하며, 2017년 이후 실적 부진과 온라인 채널


전략을 살펴보며, 소극적 M&A에 대해 이야기 한다.




7장 ODM과 용기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 에서는



2016년 상하이 화장품 박람회에서 ODM 업체


코스맥스의 위상은 돋보였다.



OEM/ODM/OBM의 차이, ODM 업체의 영업이익률,


온라인화와 ODM 업체, 중국의 ODM 업체 상황,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ODM 확대, 부자재/용기 업체 경쟁력,


프리미엄 화장품 용기 진입 장벽, 중국의 용기 수입 증가,


화장품 용기 관련 규제와 영향을 설명한다.





8장 결론: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현재와 전략 방향 에서는



지난 10년간 국내 화장품 산업은 연 평균 9% 성장했다.


브랜드력이 높은 업체들은 높은 성장율을 보였지만


중소형 브랜드는 성장을 이어가지 못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샌드위치’ 가능성,


한국 화장품의 ‘혁신성’, 글로벌 유통력 부족,


한국 화장품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3가지 과제를 제안한다.




"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서는


지난 10년간 성장해온 한국 화장품 시장을 정리하고,


면세점 시장, 유통 채널, 해외 진출, 밸류체인과 브랜드,


세계 1위와 국내 1위 기업의 케이스 스터디,


ODM과 용기 시장을 살펴보며,


한국 화장품 산업 전략 방향을 제언한다.





1장 화장품 시장 규모와 프리미엄 채널 에서는



한국 화장품 시장과 주요국 화장품 시장의


규모를 살펴보며,



화장품 업종 프리미엄, 인적 판매 전략 등에


대해 생각해 본다.





2장 면세점과 화장품 에서는



면세점 산업의 특징과 비즈니스 모델,


매출과 수익 구조를 소개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면세점 상황을 예측해 본다.




3장 매스티지: 지는 채널과 뜨는 채널 에서는



한국 화장품 시장을 밸류체인 , 홈쇼핑, H&B 스토어,


온라인 유통시장, 신규 벤처 브랜드, M&A, 


ODM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4장 국경을 넘는 K-뷰티 에서는



K뷰티 해외 진출을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K-뷰티 경쟁력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 의견을 밝힌다.




5장 화장품 밸류체인과 브랜드 사업 에서는



시장점유율, 진입 장벽을 중심으로 


한국 화장품 산업의 밸류체인을 생각해 본다.



한국 화장품 산업의 브랜드력에 대해


브랜드 프리미엄, 럭셔리와 중저가 브랜드의 차이,


해외 진출과 브랜드력, 제품 믹스 전략 등을 통해


이야기 한다.




6장 케이스 스터디: 로레알 vs. 아모레퍼시픽 에서는



글로벌 1위 로레알과 한국 1위 아모레퍼시픽의


전략을 살펴본다. 




7장 ODM과 용기 시장의 높은 진입 장벽 에서는



ODM 업체의 현황과 경쟁력, 부자재/용기 업체의 


시장 상황 등을 알아본다.





8장 결론: 한국 화장품 산업의 현재와 전략 방향 에서는



한국 화장품 산업의 장단점을 생각해 보면서


지속 성장을 위한 과제를 제안한다.



"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서는


제조, ODM 제조, 유통, 부자재 업체 등


한국 화장품 산업의 밸류체인의 현황,

 


한국 화장품의 해외진출, 브랜드력 등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화장품 산업 종사자나 창업 예정자,


투자자 등 K뷰티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한국 화장품 산업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경향BP와 리뷰어스클럽 서평단에서


"K-뷰티, 어디서 왔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