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기를 위한 변론 - 지속가능한 지구생태계와 윤리적 육식에 관하여
니콜렛 한 니먼 지음, 이재경 옮김 / 갈매나무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가 만악의 근원인가






책을 선택한 이유




코로나 거리두기가 사라지면서


사실상 엔데믹으로 전환되었다.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도 ESG는 사회 전반에


무비판적으로 급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 전기차, 탄소세, 대체육 ....




기후위기론자들은 소를 키우는 축산업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라고 비난한다.



이런 추세가 계속되면 인류와 오랫동안


함께 살아왔던 소는 조만간 동물원으로


사라질 것이다.




축산업의 입장에서 균형잡힌 시각을


바라보기 위해 "소고기를 위한 변론"을


선택하였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은


1부 소와 지구


2부 소고기와 사람


3부 현실 그리고 미래


로 구성되었다.




1부 소와 지구 에서는


농업에서 나오는 대부분의 이산화탄소는


개발도상국에서 산림을 태워 발생한다.


산림 벌채의 주 목적은 콩을 경작하기 위한 것이며


아이러니 하게 비건 식품에는 콩이 많이 사용된다.



메탄가스에 대한 GWP 산정방식의 문제점,


축산업의 온난화 영향을 부풀린 FAO 보고서 문제점,


환경을 보호하는 산지축산, 초식동물이 생태계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방목의 탄소배출 억제를 설명하며,


소는 대기에서 탄소를 빨아들여 다시 토양속에


묻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이야기 한다.



건강한 초지를 유지할 수 있는 풀기반 농업,


공장식 농업의 가축분뇨, 항생제 등 수질오염 문제,


소가 소비하는 물의 양 추산 방식의 문제점,


방목과 생물다양성의 관계, 목축이 사막화를 늦추는 이유,


가족단위 자영농이 필요한 이유와 농장생활, 농장효과,


소가 사라지면 목장 문화도 사라지는 문제를 이야기 한다.




2부 소고기와 사람 에서는


늘어난 비만의 원인은 적색육과 동물성 지방 섭취 증가가


원인이 아니다, 식물성 트랜스지방의 해악,


앤셀키스 연구의 오류, 포화지방의 과장된 유해성,



설탕과 탄수화물이 비만의 주된 요인이며, 


적색육이 TMAO 생성을 촉진한다는 불확실한 주장,


통념을 깨는 적색육과 암의 관계 연구 결과 ,



대체육은 고도 가공식품으로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가공식품이 등장하면서 인류의 건강이 악화되었고,


산업화된 푸드시스템의 문제점, 



소고기를 좋아하는 인간의 본능, 인류 진화에 따른


먹거리를 선택할 것, 소고기의 영양분적 가치


단백질의 효과, 비타민B와 D, 목초사육 비결,


소고기의 뛰어난 저장성 등을 이야기 한다.




3부 현실 그리고 미래 에서는


전세계 적으로 소고기 소비는 급감하고 있다.


호르몬과 항생제의 문제, 지속가능 축산업


실행안을 제시한다.



소고기 소비의 윤리문제에서는 


소규모 목축업으로 생계를 꾸리는 사람들,


기아 감소를 위해 목축을 제한하라는 주장의


허구성, 방목이 초지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식량 생산의 필요성


생태농업을 통한 푸드시스템 개선을 제안한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에서는


환경문제, 건강문제, 축산업의 문제점, 윤리문제 등을


통해 소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을 바꾼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이 소가 생산하는 메탄가스라고


지목한 연구결과가 근거가 부족하거나 과장되었고,


과거 지구상에는 더 많은 반추동물이 서식했었으며,


방목이 탄소를 토양으로 환원하는 긍정적 효과는


고려되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농업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탄소는 산림개간에서


발생하는데, 비건 식품에 사용될 작물이 재배된다는


사실은 아이러니 하다.




적색육이 비만이나 암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는


근거가 부족하며, 설탕 이나 트랜스지방 등의


유해성에 비해 과다하게 부풀려졌다.



기아 감소를 위해 목축을 제한하라는 주장은


불합리하며, 방목과 생물다양성의 관계, 


목축이 사막화를 늦추는 긍정적 효과는


무시되었다.



축산업의 호르몬과 항생제, 수질오염 문제


해결하기 위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생태 농업과


가족단위 자영농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새겨 들을만 하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은


친환경농업, 지구온난화, 축산업, ESG 등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생태농업과 미래의


축산업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소도 생태계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소를 제거하면 


기후문제가 해결된다는 이기적이고 단순한 결정으로


생태계가 교란될지도 모른다는 무거운 마음을 안고


"소고기를 위한 변론"의 책장을 덮는다.




갈매나무와 리뷰어스클럽 서평단에서


"소고기를 위한 변론"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