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동네 길고양이
우재욱 지음 / 지성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양이에 대해 알아보자






책을 선택한 이유



떠돌이 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길고양이는 많이 볼 수 있다.



고양이는 사람과 같이 살아도


사람을 잘 따르지 않는다.



고양이의 습성 때문일까.


많은 사람들도 고양이에게 무관심하거나


고양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우리 주변 길고양이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를 듣기위해


"사람동네 길고양이"를 선택하였다.






"사람동네 길고양이"는


1부 동네마다 있는 길고양이


2부 뒷산고양이


3부 골목고양이


4부 다른 동네고양이


5부 길고양이는 야생동물이다


6부 길고양이와의 공존


으로 구성되었다.







1부 동네마다 있는 길고양이 에서는


길고양이 망고와 이쁜이를 만나며 길고양이 관찰을 시작하게 되면서,


만나는 길고양이에게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다.



고양이의 기원, 인간의 통제를 받기 싫어하는 고양이의 야성,


고양이의 털색, 고양이 행동의 융통성, 반려묘가 늘어나면서 유기묘 증가로


길고양이가 늘어나는 현실, 고양이를 좋아하거나 혐오하는 사람들,


길고양이도 국가별로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다름에 대해 이야기 한다.



2부 뒷산고양이 에서는


길고양이 망고 새끼 콩쥐 삼남매, 사람 쉼터가 고양이 명당이 된 이유,




뒷 산 쉼터를 중심으로 짜장, 타이슨 등 수 많은 길고양들 관찰기,


길고양이를 보살피는 캣맘, 인간에 대한 경계심, 고양이의 은신술,


콩쥐와 친해지기,고양이를 관찰하는 산책의 즐거움, 길고양이가 나에게


호감을 갖는지, 길고양이의 번식, 양육과 독립 등의 이야기를 나눈다.



3부 골목고양이 에서는


동네 골목 환풍구, 감나무집 고양이,연립주택과 놀이터,


아파트에서 관찰한 고양이 이야기, 길고양이 밥자리 때문에


이웃 간 발생하는 다툼, 골목고양이의 일과, 영역 활동과 무리 행동,


고양이가 풀을 먹는 이유, 동네고양이의 TNR, 길고양이의 질병,


계절에 따라 변해가는 길고양이들을 다룬다.


4부 다른 동네고양이 에서는


주말 농장에서 만난 개냥이 꽃분이, 고양이는 혼자가 좋아,


농촌 사람들이 고양이를 대하는 방식, 외출냥이와 실내고양이,


중성화 수술의 필요성을 알아보며,



고양이섬 욕지도에 방문해서 욕지항, 목과마을 고양이 등에서


관찰한 고양이, 욕지도 사람들과 길고양이들의 공존,


서울고양이와 시골고양이 중 누가 더 행복할지 생각해보고,



들고양이는 들이 아니라 마을에서 사람에 의존해서


살고 있음을 이야기 한다.






5부 길고양이는 야생동물이다 에서는


길고양이는 음식물 분리수거로 도시에서 먹이를 얻기


어려워지면서 사람들이 주는 밥에 의존하고 있으며,


길고양이의 사냥본능, 타 동물과 생존 경쟁 관계,


들고양이와 외출냥이의 유해성, 쥐와 고양이의 관계,


고양이의 시력, 고양이 물림 사고, 고양이의 소통 방식

등을 알아본다.



6부 길고양이와의 공존 에서는


길고양이에 대한 상반된 두 시선, 고양이 학대,


길고양이에게 밥 주는 사람, 고양이 TNR,


길고양이 먹이 주기의 장단점, 고양이 급식소,


제한 급식, 바젤의 비둘기 개체 수 조절 사례,


인간과 길고양이 공존하기, 유기묘 문제 등에 대해


생각해 본다.



길고양이는 인간과 공존하며 살아간다.


길고양이의 귀여운 아기 같은 외모 때문에


자기가 키우는 고양이처럼 밥을 주고 돌본다.



새를 사냥해 생태계 교란을 가져올 수 있지만


쥐의 번식을 억제하는 긍정적 효과도 있다.



길고양이에게 먹이를 주려는 사람도 있지만


먹이를 주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많아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길고양이 급식은 길고양이 건강 향상이라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길고양이 개체 수 증가와 자생력 악화로 인해


생존 환경이 더욱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TNR이 개체 수 감소에 미치는 실효성은 적으며


먹이 제공을 하지 않거나 제한 급식을 통해 


길고양이 증가를 억제해야, 자연의 법칙에 맞으며


인간과 길고양이가 공존할 수 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길고양이는 야생 동물과 반려 동물의 경계에서


인간의 곁에서 살아간다.



사람과 길고양이가 공존하며 서로 존중하는


사회를 바라며 책장을 덮는다.




지성사와 책과콩나무 서평단에서


"사람동네 길고양이"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