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커피를 내리는 방법 -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이 알려주는
이자키 히데노리 지음, 전지혜 옮김, 박상호 감수 / 아티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내리느냐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은 천차만별이다. 기계로 뽑으면 그 차가 조금 덜 하긴 하지만. 몇 년 전 문화센터에서 커피를 내릴 때 항상 우리가 대화하던 주제였다. 같은 원두를 같은 양으로 추출하는데도 사람에 따라 완전히 다른 커피가 탄생한다. 1분도 안되는 식은 물온도, 10~20ml 정도의 추출량, 길어야 1분 남짓의 커피 내리는 시간 등등이 참 많은 차이를 가져오게 한다.

나는 신맛이 싫고 쓴맛도 선호하지 않는다. 그래서 신맛을 없애려고 뜨거운 물로 급하게(?) 추출하면 꼭 쓴맛이 따라왔다. 나는 이걸 엉성하고 다급한 쓴맛이라고 불렀다. 완성도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나만 알고 있는 쓴맛. 내 커피는 매번 둘 중 하나의 맛을 내는 듯했다. 나중에는 신맛에도 익숙해져서 차라리 신맛을 즐기긴 했지만.

커피를 내릴 때면, 아무 생각없이 온전히 커피에만 집중할 수 있다. 나를 둘러싼 모든 것들과 걱정 등등은 사라지고, 오롯이 내 앞의 커피와 나만 남게된다. 그리고 그 이후는 사람들과 다시 연결된다. 한잔씩 나눠마시고, 의견을 나누고, 어떤 커피가 더 입에 맞다는 둥, 한참을 이야기꽃을 나누게 된다. 커피를 사랑해서 커피를 배우는 사람보다 커피를 알고 싶어하는 나같은 사람이 많았다. 커피 자체보다도 사람을 만나고 취미생활 하는 데 의의를 두는 사람들이었다.

오랫동안 커피를 즐기거나 커피를 정말 좋아하는 사람은 아니다. 커피가 아니라도 살아갈 수 있고,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괜찮은 정도의 수준이다. 하지만 뭔가를 배우는 걸 좋아하기 때문에 커피 관련해서는 어떤 지식이든 흡수해왔다. 이제까지 배운게 아쉬워서 바리스타 자격증을 따겠다고 하는 정도니까. 그래서 이 책도 나한테는 바리스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었던 거다.

문화센터에서 1년 이상 커피에 대해 배웠기 때문에, 책 내용은 웬만한 부분은 알고 있거나 들어본 내용이어서 빨리 읽을 수 있었다. 다만 머릿속에서 정리가 안되고 뒤엉켜있던 부분들이 다 정리되어 있어서 좋았다. 이런 저런 내용을 다시 들춰보니, 나에겐 '커피는 추억'이라는 나만의 공식이 다시금 완성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