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펼쳐보는 24절기 그림책 한눈에 펼쳐보는 그림책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걸 배우고 알아내는 일은 즐겁다. 어려운 과학책이든, 어린이 학습만화든, 그 안에서 몰랐던 사실을 깨닫고 나면 정말 뿌듯하고 내가 훌륭한 사람이 된 것 같아 기쁘다. 내가 아는 것이 누군가의 평가 대상이 아니기에, 그저 앎의 기쁨을 누리기에 즐거운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나이가 들수록 모르는 것이 부끄러워진다. 그정도야 알고 있지, 했던 것도 모를 때가 많다. 과거 조상님들은 그 모든 것을 알고 살아야 했지만, 쉽게 검색하고, 자기 분야만 잘 알면 되는 분업사회에서는, 모르고 넘어가는 것이 너무 많다. 그래서 몰라서 부끄러웠던 것들을 알면 기쁘다.


아이들과 <24절기 그림책>을 읽는 내내 부끄러움의 연속이었고, 또한 배움은 기쁨의 향연이었다. 책 제목은 <한 눈에 펼쳐 보는 24절기 그림책>인데, 출판사에서야 제목을 정직하게 잘 지은 것 같지만, 방점은 그림책에 찍혀 있지 않다. 그림으로 된 24절기 사전이라 할 만하다. 아이들이 앉아서 한 번에 다 읽기에 힘든 분량이지만, 한 번에 다 읽을 필요도 없는 책이다. 다가오는 절기마다 펼쳐서, 유래와 풍습을 읽고 생각하고 나누며 행해도 좋다.


각 절기마다, 그 절기와 관련한 속담을 두세 가지 안내하는데, 속담이 재미있고 설명도 상세하다. 어른들도 잘 모르는 속담이라, 그 의미를 아이와 함께 이해하고 새기는 과정이 새롭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부분은 두 가지다. 하나는 절기의 이름 유래 부분이 재미있고, 다른 하나는 절기마다 행하던 풍습이다. 한자 뜻 그대로 설명하기 어려웠던 절기의 이름을 쉽게 풀어 준다. 2월 19일 무렵의 ‘우수(雨水)’는 그저 비와 물이 아니라, ‘눈과 얼음이 녹아 비와 물이 된다’는 의미다. ‘경칩(驚蟄)’은 벌레 칩자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놀라 깨어난다는 의미, 5월 21일 경의 ‘소만(小滿)’은 조금 찼다는 뜻으로, 여름의 더위가 조금 찼다, 혹은 만물이 점차 자라서 가득 찼다는 의미다. ‘망종(芒種)’은 까그라기 망, 심을 종자로 벼나 보리의 낟알 껍질에 붙은 수염이 까그라기인데, 씨를 뿌려야 할 때를 의미한다. 설명이 무척 세련되었고 이해하기 쉽다. 그래서 한자 공부도 할겸, 사전도 찾아보며 어원을 통해 절기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아이와 어른들이 모두 좋아할 만한 부분은 절기마다 재미있는 풍습과 어원이다. ‘입춘(立春)’하면 그저 ‘입춘대길’, ‘건양다경’ 정도만 아는데,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도 있다. ‘산처럼 건강하고, 바다처럼 넉넉하길’ 바라는 깊은 의미가 담겼다. 이번 입춘지방은 이걸로 해야겠다.

조선시대에 경칩이 되면 임금님이 풍년을 기원하며, ‘선농제’라는 제사를 지냈는데, 농업의 신인 ‘선농씨’와 농사의 신인 ‘후직씨’를 기리는 제사인데, 제사를 마친 후 먹은 국밥 이름이 바로 ‘설렁탕(선농탕)’이다. 절기의 풍습이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많이 스며들어 있는지를 깨닫는다.


춘분을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는 나라가 많고, 우리날도 이 날 먹는 떡을 나이떡, 머슴떡이라 불렀다. 재미있는 것은 춘분 이후의 음력 보름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 부활절이라는 사실이다. 예수의 부활이 모든 것의 균형을 이루는 날에 있다고 생각하니 의미심장하다.




24절기는 태양의 움직임과 기상 상황을 토대로 만들어졌는데, 결국 이 모든 것은 농사를 위한 일이다. 절기 틈틈이 풍년을 점치고 좋은 날씨를 점치는 풍습이 늘 있는데, 풍년과 안정을 기원하는 조상님들의 마음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또한 각 절기마다 해야 할 농사일, 미루지 말아야 할 일을 안내하는데, 이 모든 것이 부지런하게 살아야 한다는 교훈으로 다가온다.

결국 절기는 농사와 관련이 있다. 농사는 우리의 먹거리고, 먹고 사는 문제는 과거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그래서 24절기는 지금의 우리에게도 잘 어울린다. 춘분이 되면 봄을 맞아 개학과 새학년을 준비해야 하고, 입하가 되면 반팔을 꺼내어 여름을 맞이한다. 백로가 되면 가을을 기다리고, 상강과 입동이 되면 두꺼운 옷을 꺼내고 김장을 준비한다. 우리의 일상이 절기 안에 녹아들어, 우리의 삶과 함께 나아가는 모습이 그려진다.


매일 보는 날씨 뉴스에 나오는 절기가, 그저 옛날 전통으로만 치부되지 않고, 절기가 지금의 우리 삶에 녹아들도록 아이들과 함께 읽으면 좋겠다. 절기마다 행하는 재미있는 풍습과 제철 과일과 음식, 요리들을 맛보면서, 절기가 가진 깊은 의미를 함께 나누면 좋겠다. 아이를 둔 가정에 한 권씩 두고, 한 번에 다 읽지 말고, 1~2주마다 꺼내어, 그 시기 부분을 읽고 준비한다면, 이 책을 더 즐겁게 읽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으로, 우리가 자랐던 계절, 배우던 절기가 점점 퇴색되고 있다. 절기보다 미세먼지에 관심이 많고, 눈과 비보다 그로 인한 교통 상황에 더 예민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한눈에 펼쳐 보는 24절기 그림책>을 마중물로, 자연과 환경을 바라보는 고운 시선을 갖도록 하면 좋겠다.


2023.01.20


*출판사에서 보내주신 소중한 도서를 읽고 쓴 자유로운 글입니다.


#진선아이

#진선출판사

#한눈에펼펴보는24절기그림책

#24절기그림책

#24절기

#계절도서

#도서추천

#추천도서

#초등도서

#도서협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