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가 옳았던 이유 - 프로메테우스의 꿈과 좌절
테리 이글턴 지음, 박경장 옮김 / 21세기문화원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이  시대에  마르크스를 이야기하면 철지난 형식적인 이론이라며 고개를 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신자유주의가 더욱 기세를 부리면서 전세계적으로 우리는 빈익빈부익부의 심화를 겪고 있으며 또한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독재가 횡횡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다른 나라를 무참히 침략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의 심화는 자본주의가 가진 병폐를 여실히 드러내 있고 우리는 그렇다면 대안은 없는가를 생각해 보고 그런 의미에서 마르크스가 주장했던 이념에서 뭔가를 수용할수 있지않을까요?




이 책은 그런 관점에서 출발했다고 할수 있는데요. 저자는 우리가 흔히 마르크스의 이념에 대해 잘못 가지고 있는 10가지의 잘못된 시각에 대해 반박을 하면서 마르크스가 가졌던 문제점에 대해서도 수용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흔히 소련의 몰락이나 북한의 독재정권을 보면서 사회주의는 이룰수 없는 이상적 개념이라고 이야기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중국, 구 소련이 공산화 되었던 과정에서 벌어진 문제들의 경우 결코 마르크스가 주장했던 그리고 꿈꾸었던 것과는 상당히 괴리감이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겠죠.




지금 전세계적인 기후위기 문제의 근원적 배경은 아무래도 자본주의라고 할수 있습니다. 끊임없는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자연을 무분별하게 개발하고 자국의 이익만을 내세워 환경을 외면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악마적인 비극이라고 할수 있겠죠. 이 책이 마르크스를 소환하는 이유를 우리는 곰곰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자본주의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마르크스의 이념을 한번 다시 들여다 봐야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