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앙투아네트 베르사유의 장미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전영애.박광자 옮김 / 청미래 / 200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합스부르크가 왕가의 경우 결혼이라는 방식을 통해 유럽에서 상당히 오랜 기간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 왕가는 필요에 따라 스페인이나 프랑스등의 왕가와 정략결혼을 해서 유럽을 가능한 그들의 손아귀에 넣으려고 했고 루이 16세의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의 경우도 그의 어머니인 마리아 테레지아의 결정에 따라 프랑스로 시집을 갔고 결국에 격동의 프랑스대혁명을 맞이하여 기요틴이라는 무서운 사형대의 이슬로 사라지고 말았죠.

이 책은 저자가 마리아 앙투아네트의 소설같은 삶을 그리고 있는데요. 마리 앙투아네트가 죽은 이후 나폴레옹이 등장했고 다시 그녀의 시동생이 루이 18세가 된 것을 보면 그녀가 만약 대혁명에서 살아남았다면 지금과 같이 많이 회자되는 인물이었을까를 생각해 보게 합니다. 격변의 시대를 겪지않았다면 그녀 역시 다른 왕비처럼 엄청난 풍문에 후세에까지 이름을 전하지도 않았을지도 모르겠죠.

책을 읽으면서 그녀가 조금만 더 일찍 프랑스 민중의 삶을 제대로 파악했더라면 그런 비극은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 보았고 그녀의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을 읽을때는 비록 그녀가 멋모르고 세상을 살았고 그로 인해 비극을 맞이하였지만 그녀 역시 역사의 희생양이었음을 떠올릴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녀 사후 그녀가 썼다는 수많은 편지의 대부분은 가짜라고합니다. 그녀가 그만큼 세상사람들의 흥미거리가 되어 버렸다는 것인데요. 화려함의 극치를 달리는 삶을 살다가 대혁명 이후 민중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받고 구박을 받은 기구한 삶을 살다간 그녀의 이야기는 여전히 많은 현대인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할수 있죠.

천국에서 나락으로 떨어졌을때야 비로소 자신이 얼마나 잘못 살아왔는지를 알았기에 그녀는 기요틴으로 가는 길을 저항없이 담담하게 받아들였을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