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바꾼 전쟁의 역사 - 미국 독립 전쟁부터 걸프전까지, 전쟁의 승패를 가른 과학적 사건들
박영욱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은 인류에게는 비극이지만 때론 전쟁읕 통해 새로운 과학 기술제품이 등장하여 인류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과학은 창조의 힘을 가지고 있지만 파괴의 힘은 더할나위없이 크다고 할수 있죠. 우리는 이미 핵무기와 같은 무기들이 인류 모두를 멸망시킬수도 있는 세상에 살고 있고 과학기술의 성과가 잘못 쓰인 경우 인류에게는 재앙이 됨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과학이 다양한 전쟁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고 과학자들이 국가나 정부, 대학, 기업과 협업을 해왔으며 과학자의 위상이 과거에 비해 어떤 식으로 바뀌어 왔는지도 잘 알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1차세계대전이나 2차세계대전의 경우 수많은 기업들이 방산기업으로 거대해져서 지금의 위상을 잡기도 했고 화학무기의 개발 역시 과학자의 손에서 이루어짐을 알수 있었습니다.



군국주의의 경우 과학을 국가의 안보나 군사력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였기에 과학자는 때론 어쩔수없이 국가의 편에 설수 밖에 없었던 경우가 많았고 이는 비극을 가져오기도 했으며 흔히 말하는 군사로비스트들이 어떻게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않는지도 알아볼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지금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속에 끼인 상태이고 북한의 경우 지속적으로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핵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우리는 비극적인 한국전쟁을 겪었기에 전쟁이 얼마나 우리에게 참혹한지 역시 잘 알고 있다고 할수 있겠죠.


과학은 때로는 인류를 위기에서 구해주기도 했지만 과학이 악용되어 군수제품으로 개발되어 인류를 위협하고 있기에 참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들수 밖에 없습니다. 과학자가 순수한 학문적 호기심을 위해 어떤 물질을 개발하거나 기술을 상용화할수도 있지만 그 순수함을 이용한 국가권력이나 군사권력의 경우 이를 악용하여 인류를 재앙으로 몰고갈수 있는 과학의 이중성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