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병리학 - 경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
최용식 지음 / 새빛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병리학의 의미를 사전적으로 보면, 병의 원인·발생·경과 및 그 변화 등에 관한 연구를 하는 학문이라고 할수있는데 경제학에 이 병리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어떤 문제점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 진단하고 처방 치료하는 것이 경제병리학이라고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근들어 거의 10년 주기로 전세계적으로 경제위기가 찾아오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1997년 IMF 구제금융위기를 겪었기 때문에 그 어떤 나라보다 경제위기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할수 밖에 없으며 작년부터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기이하게 환율이 인상되고 있는 실정이기에 이 책이 상당히 관심이 갔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1930년의 미국의 공황뿐만 아니라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라고 하는 장기침체등 경제문제에 있어서 만성적인 위기나 급성적인 위기에 대해 병리학의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고 특히나 경기과열이라는 것이 주요원인중의 하나임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설득력있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기과열이 불러오는 금융위기, 재정위기, 외환위기등은 어찌보면 거의 순차적으로 일어나기도 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심하게 주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돈의 역할은 신용창조라고마는 생각한데 돈이 얼마나 무섭게 신용파괴를 일으켜서 전세계적으로 연쇄적인 경제위기를 불러올수 있는지를 이 책에서 상세하게 펼치고 있는데 지금의 한국경제의 경우도 저성장과 고환율, 고물가로 인해 대책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다양한 임상사례를 통해 본 경제학의 새로운 시각으로 경제병리학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수 있었고 이 경제병리학에 대해 주류경제학이 더욱 관심을 갖고 경제위기나 공황문제에 대해 원인 분석을 하고 효과적인 처방전을 내릴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