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탈리티 : 미래 인재의 조건 - 격변의 AI 시대를 돌파할 인간 고유의 영역은 무엇인가
박정열 지음 / 저녁달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성형 인공지능인 챗GPT로 인해 올 한해가 떠들썩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 인공지능은 딥러닝이나 데이터러닝 단계에서 벗어나 이른바 생성형이라는 표현을 쓸 정도로 급격하게 기능을 강화하고 있어 인공지능의 개발에 대해 충분히 규제를 검토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죠. 그만큼 현재이 인공지능은 인간이 해오던 일들을 과감히 대체 가능할 정도로 위력이 대단해졌고 실제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노동력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단순 로봇은 공장에서 인간이 하던 간단한 업무를 대신하는 정도였지만 이제 생성형 인공지능의 경우 스스로 논문을 작성하기도 하고 이미지를 생성하기도 하며 그 이전보다 훨씬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게 되었고 우리는 이 시점에서 그렇다면 과연 우리 인간은 인공지능에 밀려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의구심을 가지게 되죠.

이 책은 이런 4차산업혁명이 가져온 커다란 격변의 시대에 살고 있는 인류에게 우리가 인공지능이 해낼수 없는 인간만의 독특한 어떤 능력을 앞으로 키워나가야할지를 고민하고 우리에게 해답을 제시하고 있는 책인데요. 기술적 역량을 갖추는 것에 한정하지말고 인간이 가지고 있는 의미체계를 만들고 해석할수 있는 인간 본성을 두루 갖춘 휴탈리티 역량을 갖추어야한다고 조언해 주고 있습니다. 즉 기술역량과 해석역량을 균형있게 가진 인간이 앞으로는 인공지능 시대에 필요한 인재가 될 것임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석역량이 기술역량에 비해 왜 더 중요한지를 저자는 우리에게 설득력있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데요. 기술역량의 경우 진부화에 그만큼 취약하지만 왜인지를 묻고 맥락을 이해할수 있는 해석역량이야말로 메타역량이라고 할수 있다고합니다. ​

이제 우리 인간은 인공지능이 알고리즘의 방식으로 전달하는 정보나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 알고리즘 방식은 확증편향을 가져오기도 하고 그 정보가 거짓정보인 경우 우리 인간이 이해하는 정보에도 오해가 발생할수 있기에 사실 너머의 진실을 제대로 맥락에 따라 보고 판단할수 있는 해석능력의 제고는 앞으로 더 가치를 발휘할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과 함께하는 삶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것 같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우리 인간은 부득이하게 인공지능과 경쟁을 해야할 것이고 그렇다면 우리가 그들과의 경쟁에서 도태하지않기 위해서 갖추어야 할 인간 고유의 능력을 개발하고 거기에 더해 기본적인 기술역량까지 확보하면 더할나위 없이 미래에 필요한 인재가 될수 있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