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밖에서 찾은 완벽한 리더들 - 진화생물학 권위자 장이권의 20가지 동물의 리더십 이야기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1
장이권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를 포함하여 수많은 동물들은 집단생활을 하고 자연스럽게 집단내에서는 리더가 존재하고 팔로워가 있기 마련이죠. 현명하고 경험있는 노련한 리더가 이끄는 집단은 생존과 번식에 뛰어나고 그런 리더일수록 더 많은 팔로워를 가지게 되는 것은 사람이나 다른 동물이나 같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동안 수많은 책에서는 리더십은 어떠해야함을 이야기하는 내용이 많은데 이 책은 흥미롭게도 물고기, 펭귄, 코끼리, 늑대, 개미등 다양한 동물을 통해서 동물들의 집단생활에서 어떻게 리더가 선출되고 리더십이 발휘되며 동물들의 의사결정에서도 민주적인 다수결 원칙등이 존재하는지를 다룬 책인데 너무나 흥미롭게 읽히는 책이었습니다.

 

동물들의 경우 대부분 가장 나이가 많은 연장자가 리더가 되거나 아니면 신체적으로 가장 우월한 동물이 무리의 우두머리가 되고 연장자가 리더가 되는 것은 그만큼 연장자가 가지는 풍부한 경험과 지식때문이고 코끼리의 경우 가모장이라는 가장 나이든 암컷이 조직을 이끌어 간다고 합니다. 동물이 무리 생활을 하는 이유는 먹이를 찾는데 유리하거나 번식에 유리하기 때문이고 동물의 집단생활에는 대부분 불평등한 관계가 주로 존재하지만 반드시 그런것만은 아니더라구요.


꿀벌의 경우 새로운 정착할 집을 찾는 경우 리더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정찰병이 각각 가져온 후보군에 대해 다른 꿀벌들이 의사표시를 하고 최종적으로 집을 정하는 것을 보면 동물들에게도 투표를 통한 의사결정이 분명하게 존재함을 알수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청소물고기와 고객물고기의 관계에서 알수 있듯이 혈연이 아니고 다른 종족이더라도 협력이 필요하면 물고기들 역시 공생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보면 동물들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동물의 세계에서 리더의 역할은 그 무리를 살아남게 할수도 있고 죽게할수도 있으며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사회에서 리더만큼 팔로워가 갖는 이익이 적을수 밖에 없지만 혼자 생활하는 것보다는 무리에 속하는 것이 안전하고 그가 가질수 있는 이익이 크기 때문에 희생을 감당하고서라도 무리와 함께하려는 것은 인간세상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동물들의 무리집단에서의 리더들의 다양한 관찰을 통해서 보면 결국은 리더십이 제대로 작동하는 집단에서 리더와 팔로워가 함께 다 번성을 하고 리더십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사회통합임을 우리는 결코 잊지말아야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