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왜 여행하는지 알려 줄까? 자연 속 탐구 쏙 5
레이나 올리비에.카렐 클레스 지음, 스테피 파드모스 그림, 박서경 옮김 / 상수리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길들인 동물도 있지만 종족번식과 먹이를 찾아 긴거리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야생의 동물도 많이 있죠. 우리가 어려서 읽었던 흥부전에도 나오는 제비도 그렇고 연어의 경우 거친 물살을 거스르면서 산란을 위해 몸이 만신창이가 되지만 바다에서 다시 자신이 태어났던 곳으로 돌아오는 귀소본능을 가지고 있죠.

 

이 책에는 갈매기, 제비, 두루미등의 조류들 그리고 연어, 백상아리와 같은 어류 그리고 얼룩말, 순록과 같은 동물들이 어떻게 얼마나 어떤 식으로 이동을 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데요. 친근한 제비나 두루미부터 시작해서 무시무시한 백상아리까지 모두들 기나긴 여행을 떠나고 있더라구요.


기본적으로 동물의 크기와 신체구조 그리고 서식지, 먹이, 이동속도와 천적들을 소개하고 있고 각 동물들이 이동을 하는 이유와 이동하는 시기등을 통해 정말 다양한 동물이나 곤충들이 먹이를 찾아 그리고 종족의 번식을 위해 엄청난 거리를 이동하고 있구나하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갈매기의 경우 시속 40km로 이동을 한다니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고 매년 적어도 4만킬로미터 이상을 날아간다고 하니 그들이 평생동안 이동하는 거리는 어마어마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줄무늬를 가진 얼룩말은 줄무늬모양을 이용하여 벌레들을 어지럽게 만들기도 하고 얼룩말이 마구 달리면 사자들이 어지러워한다고 하니 얼룩말의 얼룩무늬 역시 생존을 위한 좋은 방편이라고 할수 있으며 우리가 주변에서 자주 볼수 있는 횡단보도의 표시도 얼국말의 줄무늬 모양에서 기원했다고 하네요.


여행을 하는 동물들과 어류 그리고 곤충까지 실로 그들의 여행거리는 상상을 초월하기도 하고 그들이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모습은 장관이라고도 할수가 있죠. 그러나 한편으로 지구온난화로 이들의 이동주기는 영향을 받게되고 이동을 한 도착지에서도 기후 변화가 발생하여 그들이 필요한 먹이를 구하지 못해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하니 우리 인간의 욕심으로 인한 무리한 자연 개발과 온난화 문제는 다시 한번 우리가 반성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동물들은 과학을 이용하지도않고 자신이 돌아가야할 자리에 정확하게 찾아오는 것을 보면 마치 수수께끼와 같다고 할수가 있죠. 인간의 과학이 아무리 발전했다 하더라도 동물의 본능을 따라잡을수 없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끝으로 여행을 즐기는 동물모험가들이 번식과 먹이활동을 위해 자유롭게 이동할수 있는 환경을 우리가 꼭 보전해줘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