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읽는 불평등 사회 - 사회학자에게 듣는 한국사회 불안을 이기는 법
조형근 지음 / 소동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종, 성별, 민족,계급등으로 불평등을 받는다면 우리는 분노할것입니다. 특히 MZ세대의 경우 공정에 누구보다 민감하기 때문에 평등의 문제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키워드 중 하나가 아닐까싶습니다.


이 책은 27개의 키워드로 현대사회의 다양한 불평등 현상과 문제점, 그 원인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요. 한동안 방송가에서도 크게 화제가 되었던 사유리의 출산문제라든지 미국 트럼프나 이탈리아의 우파 포퓰리즘등 다양한 이야기로 우리가 겪고 있는 불평등한 문제를 심도있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터스키기 실험이라는 키워드로 미국내 흑인의 백신에 대한 거부 현상을 분석한 부분은 상당히 충격적으로 다가왔답니다. 미국은 2차세계대전 승언후 독일의 나치등에 대한 인체실험에 대해 철저한 처벌을 단행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내에서 수많은 흑인이 실험대상이 되어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해 죽었고 이로 인해 흑인들이 백신 문제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고 코로나 백신에 대해서도 특히 흑인사회에서 접종률이 낮아지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해 주더라구요.

 

능력주의 부분도 저는 눈여겨 보았답니다. 능력주의의 출발점은 지금의 능력주의와는 좀 달랐더라구요. 아울러 능력주의가 제대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평등과 공정이 전제되어야하는데 출발점부터 다른 상태에서 능력주의를 내세운다면 의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마치 조선시대에 상민도 과거볼 기회가 있었고 그래서 똑같이 기회를 주었다고하는 것은 절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상민이나 농민이 내야할 세금이나 부역등이 많은데 양반처럼 한가하게 공부할 기회는 전혀 없었을테니까요.


우리 역시 미국이나 유럽에 가면 인종차별을 받을때가 많지만 한편으로는 국내체 체류중인 이민자나 외국인에 대해 알게 모르게 차별을 강요하는 것은 아닌지 한편으로 생각해 보게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