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 가성비의 시대가 불러온 콘텐츠 트렌드의 거대한 변화
이나다 도요시 지음, 황미숙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1월
평점 :
그러고보니 며칠전 지인과 대화를 하다 요즘에는 예전만큼 많은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데 시청하고나서 제목이 생각나지않은 경우가 많다라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때 제 대답이 그만큼 쉽게 소비하는 환경이 되었고 많이 보다 보니 예전만큼 감동을 못받거나 기억에 오래남지 않는 것이 아니겠냐는 것이었죠.
이 책은 요즘 트렌드가 되어버린 빨리감기로 영화나 컨텐츠를 소비하는 문화에 대해 다양한 이야기를 펼치고 있는데요. 이제 영화도 언제든지 OTT를 통해서 맘대로 싼 가격이 되어버렸고 굳이 영화관에 가지않더라도 저렴하게 편하게 집에서 영화를 감상하게 되어 버린 환경이죠. 그래서 더욱 영화나 드라마에 대한 인식이 감성충족이라기보다는 소비한다는 개념으로 인식하는게 더해진 것 같고 특히 젊은 세대일수록 더욱 그런 생각은 강한 것 같습니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와 비슷한 사회적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책에서는 그렇다면 왜 빨리 감기를 통해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유행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누구나 개인용 PC나 스마트폰을 가지게 되면서 티브이만큼 구속없이 개인이 맘껏 컨텐츠를 소비할수 있고 기술의 진화로 빨리감기를 해서 영화를 보더라도 음성을 듣는것이 전혀 무리가 없게 되어 버렸습니다.
현대인은 그만큼 바쁘기도하고 대화에서 그리고 SNS에서 소외되지않고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차원에서 이런 빨리 감기와 같은 방식으로 컨텐츠를 감상이 아닌 정보 습득이나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고 할수 있는데 과연 이런 방식이 좋다고는 할수 없을 것 같습니다.
비단 영화뿐만 아니라 소설이라든지, 음악에서도 이런 조급함이 넘치는 선호도는 심화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후렴구가 바로 시작되어 노래의 좋고 나쁨이 결정되기도 하고 불편하거나 알수없는 전개로 결말을 예측하기 힘든 소설이나 드라마를 외면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이죠.
결국 빨리 감기로 영화를 보는 것은 현대인의 심리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며 기술의 진보가 가져온 풍요로움 그러나 넘쳐나는 홍수같은 컨텐츠의 범람에서 현대인들이 그나마 대화에 끼기 위해 소외되지않기 위해 어쩔수 없이 취하는 방식이고 이로 인해 영화를 만드는 감독이나 기획자들의 고심은 더 커질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