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교육처럼
이지현 지음 / 지우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절판


바로 엊그제가 수능이 있었던 날이었고 수험생들은 올해도 그동안 준비한 대학입학을 위한 결전을 딱 하루의 시험으로 치루어야만했죠. 입시지옥이라는 대한민국의 현실에 부모들은 더 좋은 교육을 위해 자녀들을 학원에 보내고 선행학습을 시키는 현실이 안타까운것은 사실입니다.


이 책의 경우 저자의 실제 프랑스에서의 고등학교 입학 및 수업, 그리고 대학시절의 공부를 통해 그렇다면 프랑스의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해주는데 읽으면서 우리와 너무나 다른 교육시스템에 깜짝 놀랬답니다.


바칼로레아라는 일종의 대학입학자격시험을 본다는 것은 예전에도 알고 있었지만 바칼로레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과목이 불문학과 철학이며 체육 역시 중요하더라구요. 무엇보다 단순한 암기식 학습이나 평가가 아닌 토론식 평가와 에세이 작문을 통해 자신의 관점이나 주장을 표현할줄 아는 능력을 보는 것이 바칼로레아라고 할수 있는데 우리나라의 수능과는 너무나 다르더군요.


학생들이 교문에서 선생님과 자연스럽게 담배를 피우기도 하지만 교실에 들어서는 순간 학생들은 공과 사를 철저히 구분하여 선생님의 교육을 존중하고 선생님의 경우 수업을 할뿐 우리나라에서 하는 행정업무나 학생들의 규율단속을 하지않는다는 것도 매우 충격적으로 다가왔답니다.

 

책 속에 등장하는 바칼로레아의 실제 시험문제도 너무나 우리와 달라 마냥 신기하기만 했고 우리도 뉴스에서 수능답안지의 오류문제에 대한 뉴스가 나오면 이슈가 되는데 프랑스에서는 바칼로레아에서 다루게 되는 철학문제나 문학문제를 온 국민이 관심을 갖고 티브이에서도 구체적으로 토론을 한다니 역시 프랑스답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나라의 경우 이른바 명문대학을 나온 것이 중요하지만 프랑스에서는 어느 대학을 나왔냐보다 무엇을 대학에서 공부했는지가 중요하며 상대방의 점수에 전혀 의식하지않는다는 것, 그리고 대학은 누구나 바칼로레아를 따면 들어갈수 있지만 대학을 졸업하는 것이 정말 힘들다는 것도 우리와 엄청나게 다르더라구요.


물론 교육시스템이라는 것이 국가마다 다르고 우리나라의 경우 수능이라는 제도 역시 고민끝에 만들어졌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입시전형이 지나치게 자주 바뀌는 반면 바칼로레아의 경우 그 기본 틀을 200년이 넘게 유지했다는 것이 부러웠습니다.


잘 몰랐던 프랑스 교육시스템을 이 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주입식 교육이 아닌 스스로 생각하고 토론을 할때 상대방을 경청하고 자신의 주장만이 옳다고 여기지않는 그들의 교육이 오늘날의 프랑스를 만든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