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난의 시대
김광용 외 지음 / 북스타(Bookstar) / 2022년 10월
평점 :
재난이란 의미는 상당히 부정적이고 우리는 흔히 자연재해를 우선 떠오르기도 했지만 코로나 팬데믹을 겪은후에는 전염병 역시 엄청난 재난으로 다가올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물론 기후위기가 가져온 다양한 자연재해 역시 무시할수 없구요.
대부분의 국민들 역시 이제는 예전보다 재난에 대해 더 많은 생각을 해보았고 재난의 경우 미리 예방하고 대비하여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코로나의 경우 전혀 예측하기 힘들었던 전염병 재난이고 이런 재난이 앞으로도 더 빈번하게 찾아올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인류의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그만큼 재해에 대한 노출과 위험은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아이러니하게 들리지만 코로나 사태 역시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류가 자유롭게 전세계 곳곳을 빠르게 이동 가능함에 따라 전염병 역시 이동 경로가 빨라진 것이죠.
책에서는 또한 지속적인 연습과 훈련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데요. 이를 일본의 경우와 비교해서 잘 설명해 주고 있었습니다. 일본의 경우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지진피해에 대비한 훈련에 국민들이 익숙해있고 이런 훈련을 통해 실제 재난이 발생했을때 손실과 피해를 줄일수가 있다는 것이죠. 아무리 매뉴얼이 좋더라도 매뉴얼을 실제상황에서 실행하는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평소에 훈련과 연습을 통한 체화만이 재난에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은 자명한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책에서는 우리나라의 행정안전부의 이름이 재난의 중요성에 따라 어떻게 변경되어왔는지 민방위복이 재난현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이유등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고 시민안전보험이라는 좋은 제도가 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기후위기로 태풍이나 홍수등의 자연재해 역시 앞으로는 빈번해 질것이고 전염병 역시 코로나처럼 큰 위기로 다가올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제 이런 재난이나 위험에 대해 더 연구하고 연구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나 이번 데이터센터 화재문제로 발생한 한 메신저의 불통이 가져온 참사 역시 충분히 예방하지않은것에서 출발했던 것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