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지평선 - 우리가 우주에 관해 아는 것들, 그리고 영원히 알 수 없는 것들
아메데오 발비 지음, 김현주 옮김, 황호성 감수 / 북인어박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하면 우선 떠오르는 것은 광활한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아닐끼싶습니다. 이제 인간이 달나라에 가고 화성에 식민도시를 구축하겠다는 원대한 포부를 계획하고 있지만 우주라는 단어만 들으면 우리는 너무나 작은 존재라는 사실을 느끼게 되는 것은 비단 나뿐이 아니라고생각합니다.

 

이제 우리는 우주에 대해서 예전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할수 있지만 우리가 아는 우주는 너무나 우주의 극히 일부라는 생각을 할수 밖에 없으며 우주가 어떻게 탄생하였는지 그리고 우주의 존재는 도대체 몇개나 되고 거대한 우주속에 우리 지구와 같은 별이 있을수도 있고 거기에도 생명체가 살고는 있지않을까 이런 생각때문에 수많은 공상과학 영화속에 우주는 단골소재이고 인간의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겠죠.

 

이 책은 우주의 기원과 우주의 엄청난 시간과 공간, 요새 핫한 영화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멀티버스의 가능성, 그리고 외계생명체의 존재까지 다양하게 우주와 천체물리학에 대한 담론을 담아내고 있는 흥미로운 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등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하면서 가설과 이론에 대한 과학에 대한 개념 언급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왔는데요. 지금 알고 있는 우리가 우주에 관한 이론이나 가설도 언젠가는 또 뒤집어질수 있고 설명이 부족한 부분은 후세의 더 진보된 과학에 의해 이론적인 설명이 완벽해질때가 오지않을까싶습니다.

 

누구나 궁금해하는 우주에 관한 이야기는 결국 우리 역시 우주가 생성하면서 만들어진 존재라는 것이 아닐까싶고 그래서 인간은 우주에 대해 더 많은 호기심을 가지게 된 것은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과학서적으로써 우주와 관련한 다양한 담론과 우리 인간의 한계에 대해 생각해 볼수 있게 해주는 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