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훌륭하다
하세 세이슈 지음, 윤성규 옮김 / 창심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전에는 지금이 반려견을 애완견이라고 불렀던 적이 있었죠. 반려견의 의미는 단순히 동물을 애완의 대상으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동물이라는 인식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고 이를 통해 이제 개나 강아지가 사람들에게 더욱 의미있는 가족과 같은 존재가 되었음을 알수가 있습니다.

 

어찌보면 우리 인간은 반려견을 통해 기쁨을 얻고 상처를 치유하기도 하며 성장하기도 합니다. 반려견의 수명이 우리 인간보다 짧아 때로는 우리는 반려견을 떠나 보내야하기도 하지만 그래서 더욱 지금 우리곁에 있는 반려견의 소중함을 느낄수 있는 것이고 이 소설책에서도 나오듯이 지금 이순간을 행복해야함을 오히려 우리 인간은 반려견을 통해 배우게 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이 책은 반려견과 함께 살아가면서 그들과 때로 이별을 하기도하고 처음에는 아무런 감정도 없다가 차츰 반려견을 통해 행복함을 알게되는 다양한 이야기들이 펼쳐지고 등장하는 반려견의 종류도 참으로 다양합니다. 토이 푸들, 버니즈 마운틴 도그, 바셋 하운드등 다양한 반려견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반려견이 때로는 안내견으로 그리고 때로는 친구와 같은 존재로 때로는 테라피독의 역할을 하면서 인간에게 도움을 주고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소설로 그리고 있습니다.

 

 

백혈병을 앓고 있는 딸을 위해 반려견을 입양한 부모의 이야기, 그리고 아내가 떠나고 혼자 남게된 한 노년의 남자가 반려견을 점점 사랑하게 된 이야기, 종양이 반려견의 온 몸에 퍼져 어쩔수 없이 고통을 줄여주기 위해 안락사를 결정해야 하는 가족의 이야기등 다채로운 이야기를 접하게 되지만 공통적으로 우리는 반려겨늘 통해 때론 가족이 화해하고 반려견이 우리 인간에게 주는 기쁨도 알게되고 그들이 인간에게 보내는 무한신뢰에 대해 감사하게 되기도 하죠.


이 소설속에 등장하는 반려견들 역시 아픔을 가지고 있거나 신체적 장애를 가진 존재이기도 합니다. 인간의 이기심으로 유기견이 되어 인간을 두려워하기도 하고, 때로는 입양후 다시 파양되기도 하며, 무분별한 번식만을 위해 희생당하는 반려견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욕심때문에 우리는 쉽게 반려견을 입양하기도 하지만 그들이 아프거나 병이 들었을 때 언제 그랬냐는듯이 그들을 버리기도 하죠.

 

 

소설속에는 일곱 마리의 반려견과 함께 살아가는 가족의 이야기가 나오고 우리는 반려견이 그 어떤 동물보다 인간에게 친근하고 가까운 존재, 가족같은 존재임을 다시 확인할수 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