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다른 세계에 산다 - 자폐인이 보는 세상은 어떻게 다른가?
조제프 쇼바네크 지음, 이정은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엄청난 히트를 치면서 자폐증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예전보다는 더 많아진것 같습니다. 다만, 일부 언론 기사를 보면 드라마의 인기에 편승하여 자폐증에 대한 진지한 고민보다는 낚시성 기사를 쓰는 것을 보고 씁쓸한 생각이 든 것도 사실입니다.


이 책은 자폐증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프랑스 저자가 경험한 자신의 학창시절 그리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이 느꼈던 이야기 그리고 프랑스를 비롯해 전세계에서 현재의 자폐의 원인이나 자폐증을 앓고있는 사람들에 대한 잘못된 스스템이나 편견의 문제를 잘 지적해 주고 있습니다.

 

저자의 경우에도 여섯살까지 말을 제대로 못했지만 그는 각고의 노력으로 대학을 졸업하고 석사, 박사학위까지 따고 다양한 언어에도 정통하며 여전히 쉽지는않지만 다양한 사회활동을 묵묵하게 해가고 있더군요. 책을 읽는 내내 얼굴이 화끈거리게 되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자폐에 대해 편견이나 불확실한 근거로 평가를 했고 우리와 세상을 보는 방법이 다른 그들을 비정상으로만 취급하고 질병으로써의 자폐를 치료하는데 더 관심을 가져왔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통해 자폐를 늘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대다수의 비자폐인들이 만들어낸 사회구조에서 살아가는 것이 녹녹치도 않으며 어떤 면에서는 우리들이 그들의 눈에는 더욱 비정상적인 모습으로 보일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아울러 우리가 너무 쉽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생각하는 활동이나 생각을 그들은 긴장하고 스트레스를 받아가면서 미리 준비해야하고 어려워하는지도 조금은 알게 되었다고나 할까요.

 

저자는 자폐라는 것으로 한 인간을 한정짓고 제한하는 것이 매우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고 인간은 누구나 각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뿐이며 하나의 기준으로 묘사를 할수 없음을 우리에게 이야기해 주고 있습니다. 자폐인이라기 보다는 자폐라는 특수성을 가진 또 다른 개인이라는 것을 우리가 먼저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이 책을 통해 해보게 되었고 우리는 지나치게 어떤 틀이나 구조안에 인간을 마구잡이로 인간의 의사와는 전혀 상관없이 밀어넣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