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아직, 우리가 굶주리지 않는 이유 - 곡물과 팜유에서 대체육까지, 어둠 밖으로 나온 식량 메이저들의 생생한 이야기
조나단 킹스맨 지음, 최서정 옮김 / 산인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최근 느끼겠지만 물가가 너무 올랐다는 생각이 들겁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하여 밀과 해바라기유의 주요 수출국인 우크라이나의 수출이 피해를 입음에 따라 전세계 밀값이 폭등하고 인도네시아의 경우 자국의 팜유의 전면 수출금지를 불러오기도 했죠. 그만큼 우리는 이제 글로벌시대에 살고 있고 식량자원의 경우 단순한 무역을 떠나 정치적인 목적으로도 악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더욱 관심을 가질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저자의 경우 농산물 원자재 트레이딩에 무려 40년간 넘게 종사해 왔던 사람으로 그동안 발생해 왔던 전세계의 곡물 무역의 흥망성쇠를 모두 경험하였고 이제는 모두가 지속가능한 경제를 강조하고 있기에 곡물 트레이더나 서플라이 체인 역시 변화된 시장에 맞추어 기업을 공개하고 있고 비밀주의에서 벗어나 투명한 곡물 거래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고 이야히 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느낀건 옥수수와 대두가 엄청나게 전세계적으로 생산이 되고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래가 되고 있다는 것이었어요. 옥수수와 대두는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기에 우리 인간이 예전보다 훨씬 고기를 많이 섭취하는 상황에서 앞으로도 옥수수와 대두는 중요한 곡물이 될 것이고 역시 곡물 트레이더들에게서도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옥수수와 사탕수수등은 바이오디젤이나 바이오에탄올과 같은 친환경 연료로도 지금은 점점 사용량이 늘어가고 있다고합니다.

 

 

곡물의 경우 한 국가가 때론 수출을 금지하기도 하면 곡물 트레이더들은 새로운 대안 공급원을 찾아야만하고 곡물은 한동안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이 유지되어 왔다가 최근들어 급격한 불안을 가져오고 이는 물가 상승을 가져오는데 이런 불안한 공급의 원인에는 기후위기의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도 알수 있었습니다.


글로벌 시대에 곡물 트레이딩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고 이런 곡물 트레이더들의 노력으로 우리는 자체 생산보다는 저렴한 가격으로 수입품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식량위기가 발생하는 경우 아프리카와 같은 후진국들의 경우 더욱 곤경에 빠질 것이고 넘쳐나는 식량 공급량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는 굶어 죽을수도 있는 아이러니한 상황은 발생할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전세계 주요 곡물 트레이더와 서플라이 체인의 형태, 곡물 유통망의 변화와 흥망성쇠를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