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안 마이어 - 보모 사진작가의 알려지지 않은 삶을 현상하다
앤 마크스 지음, 김소정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흔히 사진은 순간을 포착하는 예술이라고하죠. 사진의 경우 누군가의 표정을 있는 그대로 담기도하고 사물 자체를 바라보는 사진가의 시선을 우리도 느낄수 있기 때문에 취미생활로 사진 촬영을 하시는 동호회인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현재 서울에서는 비비안 마이어의 사진전이 열리고 있고 마침 비비안 마이어의 삶과 그녀가 남긴 사진, 그리고 그녀의 소중한 사진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열심히 최선을 다한 두사람의 이야기등이 소개된 책을 만나게 되어 읽었답니다.


그녀의 경우 만약 우연한 기회에 그녀의 사진이 발견되지않았다면 불행하게도 우리가 지금 그녀의 사진을 만날수 없을수도 있을 만큼 그녀는 대부분의 사진을 인화하지도않은채 그냥 수집 보관했다고 합니다. 거의 14만여장이 되는 필름과 네거티브 필름, 그리고 조그만 양의 인화된 사진들. 그리고 그녀는 철저히 외부와 차단된 삶을 나중에 살았기에 그녀의 성장배경이나 그녀가 찍은 사진들에 대한 정확한 위치, 인물, 시대를 알수가 없어서 이 책의 저자는 오랜 세월을 걸쳐 그녀의 단서들을 찾아 나서 마침내 그녀에 대해 우리가 몰랐던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녀에게 사진은 세상과 소통할수 있는 도구였고 자신을 위로하는 친구였던 것 같습니다.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내야만 했고 그녀가 갖게된 저장증은 그녀로 하여금 수많은 신문이나 물품을 창고에 보관하도록 했고 그나마 그녀는 사진찍기를 통해 세상과 어느 정도 소통을 했지만 그녀가 찍은 대부분의 필름은 현상도 되지않은 상태로 남아있기에 여전히 소유권이나 작품에 대한 가치에 논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녀는 더구나 결혼하지도않았고 그녀의 오빠 역시 젊은 날 죽었기에 그녀가 남긴 사진에 대한 유산문제도 해결은 안되었지만 그녀는 그녀의 사진이 그녀가 죽은 후 세상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면 분명 기뻐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거리의 사진 작가였지만 어쩔수 없이 생계를 위해 보모로 살아야했고 수많은 거리 풍경이나 인물등을 찍었지만 대부분의 사진을 인화하지않고 모아놓은 채 세상을 떠난 비비안 마이어. 불행히도 우리는 그녀가 남긴 사진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알수가 없고, 최종 인화 프린트된 작품으로써의 사진을 많이 남기지 않았기에 그녀가 표현하거나 전달하고자하는 사진의 메시지를 제대로 알수는 없지만 그녀의 사진이 다행히도 발견되어 우리에게 남겨졌다는 것을 불행 중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