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돌보는 사람들 - 버지니아 울프, 젤다 피츠제럴드 그리고 나의 아버지
샘 밀스 지음, 이승민 옮김 / 정은문고 / 2022년 7월
평점 :
이 책은 저자의 자전적 에세이로 저자의 경우 저자가 어려서부터 조현병을 앓게된 아버지를 본인이 어쩔수없이 돌보는 이른바 간병인의 삶을 살게되면서 느꼈던 감정과 영국의 정신병에 대한 시대별 시스템의 변환 그리고 무엇보다 정신병을 앓았던 두 문인 부부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조현병이나 신경쇠약을 앓았던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돌봐야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우리에게 사실적으로 전달해 주고 있습니다.
버지니아 울프 부부와 젤다 피츠제럴드 부부 모두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아내를 두고 있는 남편이 있었고 그들이 아내를 어떤 식으로 극명하게 대비적으로 돌보았는지를 비교해서 설명하고 있었는데요. 저자 역시 레너드 울프의 돌봄에 대해 지지를 표명하는 것을 보면 그녀 역시 버지니아 울의 뛰어난 작품이 나오는 배경에는 남편이었던 레너드의 지극 정성의 돌봄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저자 역시 아버지를 돌보면서 겪게 되는 자신의 삶이 피폐해지고 건강도 잃어가고 사랑했던 사람과 관계를 정리해야하면서 결코 돌봄이 쉬운 일은 아니며 특히 간병이라는 것이 국가나 사회의 더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햠을 뼈저리게 느끼고 이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저자의 어머니는 남편의 조현병을 평생 감당하면서 부담해야했던 압박감이 있었고 딸인 그녀는 어머니의 암투병 사망후 떠안게된 아버지 돌봄으로써 어머니의 아버지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대단했으며 비로소 어머니의 입장을 제대로 이해할수가 있게 된 것이죠.
정신질환이 되었든 육체적 장애가 되었든 우리사회는 돌봄이 필요한 수많은 사람이 존재하고 우리 대한민국에서도 요양원 문제라든지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해 목숨을 끓는 약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수없이 존재하고 그런 뉴스를 접할때마다 정말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그들은 그런 선택을 할수 밖에 없었을까 그리고 국가나 사회는 왜 그들을 방치했는가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아무리 가족이라도 돌봄은 엄청난 고통과 경제적 지출이 존재하기 마련이며 간병인의 삶 자체도 피폐해질 가능성이 무척이나 많아 보입니다. 이 책을 통해 간병의 사회적 시스템이 더 잘 갖추어져야함을 그리고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단순한 약물치료가 아닌 사회적 돌봄 구조를 통해 그들을 케어하고 다시 그들이 정상 생활로 돌아올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도와야하며 우리 모두 언제든 간병인의 위치에 처할수 있음을 생각해야 할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