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 - 이어령 유고집
이어령 지음 / 성안당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시대의 지성이었던 이어령교수님이 올해 타계하셨죠. 이 작품은 그가 남긴 유고집으로 남아있는 우리에게 전하는 교수님의 메시지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는 인간은 어쩔수 없이 죽음을 피할수 없지만 누군가가 죽더라도 그가 남긴 말과 언어는 DNA로 대대손손 후세에게 전해지는 것이고 이에 우리에게 지금까지 한국 100년동안 내세울수 있는 다섯가지의 키워드와 더불어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그가 남기고싶은 몇가지의 키워드를 우리에게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그는 역사를 해양문화와 대륙문화간의 치열한 경쟁으로 말씀하고 계시고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반은 대륙이면서 반은 해양이라서 이런 반도에 위치한 한국이 반도성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도성의 회복은 단순한 한반도의 통일에 그치지 아니하고 전세계를 아우를수 있는 중요한 키워드라고 이야기해주십니다. 단순하게 이분법적인 방식이 아니라 우리 한국의 경우 가위,바위,보나 삼천리처럼 3이 주는 숫자의 역할이 있는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이항대립에서 벗어나는 오묘한 것임을 우리에게 깨우쳐 주고 있습니다.


아울러 버려둔 것에 대해서 그 가치를 찾고 인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씀해 주시고 있는데요. 누룽지, 묵은지, 우거지, 콩비지, 짠지와 같이 그냥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버려지는 것에 대해 가치를 제대로 알고 창조를 만들어내는 뛰어남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책속에서 그가 언급하고 있는 뜨다와 날다의 의미차이로 서울대 입학생들에게 큰 깨우침을 주셨는데 제게도 너무 와닿는 내용이었어요. 뜨다는 확실한 방향성이 없는 것이고 단순히 뜨는 것에 그치지말고 제대로 목적 방향을 가지고 날수 있도록 젊은이들을 독려해 주셨는데 이게 바로 우리 대한민국의 역할이 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원숭이, 사과, 바나나, 기차, 비행기 이 다섯가지 키워드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100년. 또 다른 100년에는 백두산에서 출발하여 한국적이면서도 장점을 가진 키워드로 미래를 열어가기를 교수님은 이제 세상을 떠나면서 우리에게 당부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