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 하편 기발하고 신기한 수학의 재미
천융밍 지음, 리우스위엔 그림, 김지혜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동차나 수레의 바퀴가 원형이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아는데 왜 원형이어야하는지를 수학적으로 설명하기는 쉽지않을겁니다. 실제 우리가 살아가면서 접하는 수많은 제품들의 경우도 수학적 원리를 갖추어 형태를 가졌지만 왜 그런 형태이거나 모습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지않는 경우가 많죠.


이 책은 수학이 일상생활에서도 어떻게 실제 적용할수 있는지를 알아볼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들어있어 무척인 재미있게 읽을수 있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뫼비우스의 띠, 그리고 미로에 대한 흥미로운 설명도 들어있어 더욱 신기하기만 했는데요.

 

특히 아르키메데스의 이야기부분은 정말 수학자중에는 괴짜가 많다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의 묘비에는 기하도형이 새겨져 있고 이 기하도형은 그의 가장 의미있는 성취인 원기둥과 구의 부피 사이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라고 하는데 아르키메데스는 그의 유언에 묘비에 이 기하도형을 새겨줄 것을 요청했다고 합니다. 아울러 그는 로마군이 자신이 살고 있는 성에 침입했을때도 땅바닥에 기하그림을 그리고 있었고 침입한 로마군사에게 내 원을 밟지 마세요라고 할 정도로였다니 그의 수학에 대한 애정은 엄청나다고 할수 있죠.


7개의 다리문제도 참 재미있었어요. 특이한 구조를 가진 도시에서 7개의 다리를 중복해서 걷지않고 4곳을 모두 한꺼번에 산책할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었는데 사람들은 이를 해결하지 못했고 결국은 수학자 오일러에게 도움을 청했다고 합니다. 이 사례를 보더라도 수학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학문임을 알수가 있죠.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에디슨의 부피측정이라는 파트였는데요. 에디슨의 조수였던 수학자에게 에디슨은 기이한 형태의 전구부피를 계산하도록 시켰는데 그의 조수는 골머리를 앓고 있었지만 그에게 조언한 에디슨의 답은 너무 뜻밖이었어요. 에디슨은 전구에 물을 가득채우고 다시 이 물을 잔에 부어 물의 부피를 재면 그게 바로 전구부피가 아니겠냐고 대답을 했다는데 이는 완전히 생각의 전환을 통해 얻어낸 해법이라고 할수 있죠.


최근 한국계 수학자인 허준이 교수의 펄즈상이 큰 화제가 되었죠. 결국 호기심에 대해 부모들이 학생들을 지지하고 응원해주어야 새로운 해결방식도 만들수 있고 수학의 난제를 풀수 있다는 것을 우리가 잘 알고는 있지만 여전히 학교교육은 학생의 서열화를 위한 수학교육이라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인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