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벌레를 사랑하는 기분 - 발밑의 우주를 들여다보는 한 곤충학자의 이야기
정부희 지음 / 동녘 / 2022년 6월
평점 :
우리가 벌레나 곤충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왠지 찝찝한 기분이 들기도하지만 만약 곤충이 없다면 우리 인간은 살아갈수 없을 정도로 곤충은 인류가 농작생활을 하는데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생물입니다. 곤충은 식물을 먹고 살지만 식물이 필요한 번식을 중간매개하는 소중한 존재이고 최근에 뉴스를 보면 갑자기 꿀벌들이 많이 사라졌다는 기후위기의 현상에 대해 우리는 관심을 가질수 밖에 없습니다.
이 책은 원래는 인문학도였지만 40살의 나이에 곤충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싶기위해 생물학과 대학원에 진학해서 공부를 해서 이제는 한국의 파브르가 불리는 곤충학자가 쓴 이야기인데 곤충이야기가 좀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너무 재미있게 읽을수 있었습니다.
그녀는 이제는 역시 곤충에 푹 빠져 공부를 하고 있는 대학생 아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여기저기를 다니면서 곤충들을 채집하고 연구하며 새로운 종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채집하러 다니면서 겪어야 했던 에피소드들도 많은데 특히 뱀과의 조우는 그닥 유쾌하지는 않았을 경험이지만 밤에 보게되는 반딧불이와의 만남은 너무나 행복한 시간이었을것 같습니다.
곤충은 제각각 먹이로 삼는 식물이 달라 서로 피해를 주지않는다고합니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보호색을 띠기도하고 화학물질을 만들기도 하고. 한편으로 베짱이나 매미의 경우 우렁차게 울어대는 이유가 수컷이 암컷과의 교미를 위한 것이라니 이제껏 몰랐던 사실도 이 책을 통해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저자의 말처럼 곤충은 우리 인류보다 훨씬 이전에 지구에 태어났고 우리가 곤충을 해충이나 익충으로 구분하는 것도 인류의 입장에서본 시각일뿐 곤충은 그들 나름대로의 생존을 위해 오늘도 살아가고 있으며 이제 기후위기등의 문제로 우리 주위에 보였던 수많은 곤충이 사라지기 시작했기에 우리는 더욱 지구온난화의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 같습니다. 만약 나비나 꿀벌이 사라져 식물의 번식할수 없게 된다면 고스란히 그 피해는 우리 인간에게 오고 말겠죠?
이 책을 통해 곤충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이제는 산책을 나가거나 산을 오를때면 나무나 주변의 풀을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될 것 같습니다. 애벌레나 어른벌레의 모습으로 존재할 곤충을 만날 기회가 될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