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러캔스의 비밀 - 살아 있는 화석 물고기
장순근 지음 / 지성사 / 2022년 5월
평점 :
우리가 흔히들 살아있는 화석이라고 하면 은행나무, 메타세콰이아를 들수 있을겁니다. 실러캔스의 경우 사라진 어류인줄 알았다가 20세기에 다시 재발견되면서 살아있는 화석으로 인정받고 지금은 멸종 위기에 있기에 보호가 필요한 어류이죠. 고생대부터 살기시작했다니 엄청난 시간을 살아온 것이고 특별한 진화없이 그대로 고생대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도 매우 신기한 일입니다.
이 책은 실러캔스가 멸종어류로 알고만 있다가 우연히 발견된 이야기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는데요. 1930년대 남아프리카공화국 해안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또 다시 이곳엣 만히 떨어진 인도네시아의 섬에서도 1990년대 후반에 발견되어 크게 서인동양실러캔스와 인도네시아실러캔스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수 있다고합니다.
바다에서 우연히 발견된 실러캔스에 관한 극적인 과정과 이에 얽힌 흥미로운 사실들을 읽을수 있었고 우리가 잘 모르는 실러캔스의 생물학적 특징과 출현과정도 묘사하고 있습니다.
실러캔스의 경우 암놈 물고기의 경우 180cm의 길이에 거의 100kg이나 나간다고하는데 고생대에는 이 정도의 크기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임신기간이 무려 5년이나 된다고 하니 종의 번식이 쉽지않고 바닷속 깊은 곳에서 살고 있고 동굴이 있는 곳이면 더 서식하기가 용이하다고 합니다.
아직까지 실커캔스에 대해서는 우리가 모르는 것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암수가 어떻게 짝짓기를 하는지 가족 구성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며 새끼들은 어떤 식으로 보호되고 키워지는지 모르는 것이 너무 많고 이런 것들은 우리가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조금씩 알아가야할 것 같습니다.
거의 무려 4억년전에 생존했던 어류가 여전히 지구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입니다. 공룡과 같이 한 시대를 지배했으나 멸종한 동물을 이루말할수 없죠. 그럼에도 그 기나긴 시간을 견디어 생존을 했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일이며 우리는 지금 얼마남지않은 실러캔스를 잘 보호하여 이 어류가 가지고 있는 지구의 역사를 더 들여달 볼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