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는 이상한 이름 - 충돌하는 여성의 정체성에 관하여
멜리사 호겐붐 지음,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우리는 엄마는 위대하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엄마가 된다는 것은 특히 여성에게서는 자신의 정체성이 바뀌는 어마어마한 일이고 직장생활을 했던 여성의 경우 육아휴직을 가질수 있지만 다시 업무로 복귀하면서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것도 엄청난 일이라고 할수 있죠.

 

저자의 말처럼 완벽한 엄마가 될 필요도 없고 자신의 아이에게 뭔가 부족하게 해주더라도 죄책감을 가질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여성들에게 일도 잘하고 육아도 잘 하는 슈퍼맘만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저자역시 아이 둘을 낳고 다시 직장으로 복귀하여 일을 하고 있지만 두 아이을 낳고 기르면서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했고 주변의 여성들이 아이를 낳은후 겪었던 수많은 일들을 보면서 과연 엄마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고 우리 사회의 여전히 육아나 일하는 엄마에 대한 편견과 시스템적인 문제가 존재하는 지를 들여다보게 되었더군요.


남녀의 급여격차나 휴직 문제에 관련해서 우리나라도 예전보다는 좋아지긴 했지만 아이를 갖는 임신부나 임산부가 겪어야하는 차별은 여전히 존재하고 경력단절은 불가피해 보이는데 이런 문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비교적 선진화된 시스템을 가진 유럽의 나라들에서도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더라구요.


많은 여성들이 결혼을 미루거나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미루는 것은 출산 이후 발생하는 많은 단점들 때문이 아닐까싶습니다. 그만큼 여성에게는 출산이 주는 부담이나 정체성의 문제가 남성에 대비해 절실하고 부담스러운 것일수 밖에 없고 만약 우리가 인구문제를 걱정한다면 보다 근본적으로 문화나 제도 전반에 걸쳐 여성이 부담없이 아이를 낳고 육아가 단지 여성의 몫이 아닌 우리 모두의 공통의 일임을 지속적으로 상기시켜야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을 통해 여성이 엄마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큰 변화인가를 조금은 이해할수 있었고 우리사회의 성별화된 규범이 특히 남성중심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세상의 모든 아이들의 어머니인 엄마의 존재와 가치를 인정하고 엄마를 위해 우리 사회가 과연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조금은 고민해 보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남녀가 결혼을 하면 아이를 갖는 것을 당연시 했었는데 이것도 반성하게 되더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