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은밀한 감정 - Les émotions cachées des plantes
디디에 반 코뵐라르트 지음, 백선희 옮김 / 연금술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있기전 식물이 먼저 존재했고 식물의 일부가 동물로 진화하였고 또 일부는 식물 그대로 존재하면서도 끊임없이 진화했으며 식물과 동물은 또한 공진화를 통해 서로가 지금의 존재로 남아있다고 합니다. 한편으로 저자의 언급처럼 인간은 식물없이 살수는 없지만 식물은 인간없이도 충분히 존재했고 살수 있기 때문에 우리 인간은 식물에 대한 지금의 시각을 이제는 바꾸어야 할 때가 된 것 같습니다.

 

인간의 무분별한 자연의 정복으로 아마존의 삼림이 훼손되고 있으며 이제 한반도에도 많은 벌들이 사라지고 있어 이는 인간의 생존에도 영향을 줄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아직도 식물은 듣거나 말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고 그냥 인간이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지구상의 존재로만 생각하고 있는데 너무 안타까운 현실이 아닌가싶습니다.


이 책은 다양한 과학적 실험등으로 밝혀진 식물이 다른 식물과 연대하기도 하고 인간의 감정이나 말에도 반응을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기존 우리가 식물을 수동적이고 무감각한 존재로만 보아 온것이 잘못되었음을 알려주고 식물이 생존을 위해 또는 다른 식물이나 동물과의 공존을 위해 방어하고, 선택하고, 학습하고, 연대한다는 매우 중요한 사실을 우리에게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예전에 뉴스에서도 읽었던것처럼 식물에게 매일같이 사랑한다는 애정 표현을 하는 경우 식물이 잘 성장하고 식물의 열매나 수확량도 비료를 쓰는 것보다 훨씬 많아지고 어느 곳에서는 식물의 발육을 위해 클래식을 틀어준다는 이야기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러나, 인간은 무분별하게 유전자를 조작하여 식물마저 인간의 욕심에 맞게 키우려고 하고 이에 식물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방어막을 만들거나 독성 호르몬을 생산할수 있다고 하니 너무 신비롭고 충격적인 사실이 아닐수 없습니다.


이 책을 읽게되는 누구나 기존에 그냥 지나쳤던 주변의 식물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될 것이고 식물 역시 인간과 공존해야할 지구상의 존재이며 인류의 출현 훨씬 이전부터 지구에서 생태계에 맞게 살아온 존재라는 것을 알게된다면 우리 인간은 식물을 지배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하면 식물과 공존하고 동반자적 관계를 유지할수 있을지를 고민해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