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박사와 함께 떠나는 기후변화 나비여행 푸른들녘 인문교양 39
송국 지음 / 푸른들녘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비는 인류보다 훨씬 오래전 그러니까 거의 몇천만년전부터 출현하여 지금까지 끊임없는 기후변화의 위기를 극보가고 살아오고 있는 대단한 생물이더라구요. 그 가날픈 몸에도 불구하고 적당한 기후를 찾아 수천 수만킬로를 어떤 때는 몇세대가 함께 이동을 한다니 정말 대단한 존재가 아닌가싶습니다. 바다를 건너기도 하고 거센 바람을 무릅쓰고 이동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텐데도 몇천만년저부터 익숙해지는 그들만의 감각을 이용해 전세계를 누비는 것을 보면 인류가 멸망하더라도 나비는 여전히 존속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은 기후변화 지표나비 10종에 대한 이야기로 이들이 예전에 비해 훨씬 북상하여 서식처를 옮겨오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서 이 또한 기후변화로인한 나비의 이동임을 보여주고 인간의 욕심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구의 생태계 문제와 기후문제에 대해 우리가 다시 한번 각성해야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현미경을 통해 나비들의 날개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사진들은 너무 신기하고 놀랍기만 했습니다. 나비의 날개에 그려진 다양한 문양이나 색깔들은 마치 우리가 만나는 우주의 신비와 같이 다가오더라구요. 어쩌면 나비의 날개에는 수천만년의 세월의 어마어마한 기록들이 새겨지고 또 새겨진 것이며 이에 비해 인류의 출현후의 역사는 지극히도 짧은 한순간이었음을 마치 말하려는 것처럼요.

 

나비들의 경우 특정 식물을 주요 먹이로 삼는다는 사실도 이번에 알게 되었네요. 소철꼬리부전나비는 소철만을 먹이로 삼기때문에 완전 소철바라기이고, 어릴적 시골에서 자주 봤던 배추흰나비의 명칭은 바로 이들이 배추를 먹이로 하기 때문이더라구요. 희한하게도 나비들은 자신들이 주로 먹는 식물이 다 다르고 그들의 이동하는 경로 역시 결국은 그 식물이 자라는 곳에 따라 옮겨지는 것이고 기후변화로 인해 한반도가 아열대화하면서 식물의 서식지 역시 북상함에 따라 나비들 역시 기존의 서식지보다 더 북상해서 발견된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나비효과처럼 비록 어느 한 곳에서 작게 시작된 일이 점점 커져 태풍처럼 거대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것처럼 우리가 일상에서 작게나마 환경보호를 실천하는 작은 일들이 결국에는 커지고 커지면 지구를 위기에서 구할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그러고보면 우리는 예전보다 나비를 적게 보게 되는 것 같고 최근 기사에서는 벌이 다 사라졌다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인류가 계속해서 욕심을 부리면 결국 곤충이나 동물들이 사라져갈 것이고 결국에는 인류마저 이 지구에서 사라질지도 모르기에 우리가 이제라도 좀더 지구 생태계 보존을 위한 작은 일이라도 바로 실천해야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