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을 놀라게 한 미생물과 감염병 이야기
사마키 다케오 외 지음, 오시연 옮김, 여상인 감수 / 북스힐 / 2022년 4월
평점 :
미생물,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하면 일단 우리는 거부감을 가지게 되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생각할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특히 우리는 이번에 코로나라는 신종바이러스의 창궐로 인해 팬데믹 상황을 겪어야만 했고 그 기간이 2년 넘게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확진자가 나오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기에 바이러스라는 소리만 들어도 몸소리가 쳐지는 것은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이 책에서는 코로나 이전에도 발생했던 신종 바이러스 설명도 나오는데 사스 바이러스와 메르스 바이러스 이야기 뿐만 아니라 인류에게 큰 희생을 치르게 했던 스페인 독감이나 페스트등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이야기를 펼치고 있습니다. 어찌보면 인간의 욕심과 부분별한 자연의 개발로 인해 동물들에 기생하고 있던 바이러스가 결국 인간에게까지 자신의 생존을 위해 퍼진 것이고 이로 인해 인간은 혹독한 댓가를 지금 치루고 있는 것이겠죠.
한편으로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생물의 존재와 인간에게 유익한 균의 이야기도 이 책에서는 언급을 하고 있답니다. 우리 인간의 경우에도 엄청나게 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고 만약 미생물이 존재하지않으면 동물의 사체는 그대로 방치되어 있고 식물역시 그냥 말라 비틀어져 있을것인데 미생물이 활동을 함으로써 자연의 선순환을 가져오는 것이기에 미생물은 어찌보면 동물이나 식물보다 더 대단한 역할을 지구에서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또한 유산균이나 비피더스균등의 유익균을 통해 우리 인간은 정상적으로 살아가고 있고 우연하게 발견된 효모등을 이용해 인간은 발효음식이나 발효음료등을 만들어 먹거나 마시는 즐거움을 얻게 되기도 하였으니 우리가 단순히 균이나 세균에 갖는 부정적인 측면 이외에도 그들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유익함도 함께 생각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미생물의 존재는 정말 어마어마하고 아직까지 발견되지않은 미생물이 많은 것을 보면 인간은 이 지구상에서 스스로 대단한 종이라고 자부하지만 어찌보면 나약한 존재에 지나지않음을 이번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해서도 깨닫게 됩니다.
결국 미생물은 우리 인간의 적이기도 하고 친구이기도 하며 우리가 지금까지 알아낸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우리는 미생물과 관련해서 무지하기에 우리 인간은 겸손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구를 정복하려는 생각보다 지구와 함께 공존하려는 모색을 해야 바이러스의 역습을 피할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