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흐 바흐, 이란 ㅣ 책으로 여행하는 아이 7
알베르트 크비아트코프스키 지음, 카타지나 아다메크-체이스 그림, 김영화 옮김 / 풀빛 / 2022년 4월
평점 :
이란하면 우선 떠오르는게 테헤란로가 아닐까싶어요. 그리고 석유수출국이면서도 이슬람 시아파가 다수인 나라. 한국입장에서 이란은 또 중요한 무역국가이기도 하고 비록 이란이 미국과의 불편한 관계를 가지고는 있지만 한국 기업들에게 이란 시장은 무시할수 없는 규모의 시장이죠.
그동안 이란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참 많았는데 쉽게 쓰여진 이 책을 통해 이란에 대해 몰랐던 너무나 많은 사실들을 알게되었어요. 페르시아 제국이 바로 이란으로 볼수 있고 이란에서 금보다 더 귀하다는 샤프란이 대부분 나오고 이슬람 이외에도 조로아스터교를 믿고 있는 사람들도 있고 파라다이스라는 영어 역시 이란의 정원이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아울러 공과 스틱을 이용해서 말을 타고 하는 폴로게임도 이란이 거의 종주국이라 할수 있고 엄청난 규모의 세계 최대의 폴로게임장도 이란에 있다고 하네요. 인구도 무려 8천6백만명이나 되고 이란에서는 국제올림피아드를 두번이나 제패한 여성 수학자도 배출을 했더라구요.
미국과의 불편한 관계로 인해 우리가 잘못 알고 있다는 다소 거칠고 호전적인 사람들이라는 생각과는 달리 이란인은 매우 친절하고 손님은 특히 소중하게 대접을 하며 사양하는 문화는 거의 우리나라나 중국과 매우 흡사하더라구요. 기본적으로 남이 호의를 베풀면 덥썩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몇번의 사양 후에 받아들이는 것이 이란사람들의 문화라는 것에 상당히 놀래기도 했어요.
그리고 이란에 치타가 살고 있고 예전에는 사자나 호랑이도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되었어요. 사막도 있고 높은 산도 있으며 아랍에서 받아들인 이슬람을 믿고 있지만 아랍어가 아닌 페르시아어를 사용한다는 것도 이번에 알게 되었네요.
어찌보면 사우디 아라비아들의 아랍과는 출발점부터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리아계통의 선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그렇고 일상생활에서 이슬람 문화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이란 전통의 문화 영향으로 여전히 페르시아적인 문화가 존재하고 있는 나라라는 것이 매우 흥미롭게 다가오더라구요.
그리고 책 후반부에는 가장 많이 쓸수 있는 페르시아어도 소개하고 있고 이란의 음식과 음료를 만드는 방법부터 소개하고 있어요.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란을 방문하고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이 책을 읽고 이란에 대한 호감이 생기기도 했구요.
아이들이 쉽게 읽을수 있도록 그림도 많이 책에 포함하고 있어 호기심많은 아이들이 책으로 이란 간접여행을 떠날수 있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