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하는 사람, 조광조
조성일 지음 / 시간여행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가장 혁신적인 개혁정치를 주도한 인물이라고 하면 누구나 조광조를 생각할 것입니다. 중종의 총애를 입어 승승장구했지만 너무 급진적인 개혁으로 인해 훈구파들의 반대에 부딪혀서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하고 사약을 받고 죽어야했던 혁신가.

이 책을 통해 드라마나 알고만 있던 또는 국사책에서 배운 정도로만 이해하고 있던 조광조의 삶에 대해 그리고 그가 과거시험에 썼던 글이나 그를 추모하기 위해 퇴계 이황이 썼던 행장들을 읽으면서 중종은 왜 그토록 조광조를 아꼈으면서도 어느 순간 그에게 등을 돌리게 되었을까를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조광조는 올곧은 대나무를 떠오르게 하는 이미지더라구요. 도의 정치를 믿었고 성리학의 열렬한 신봉자였고 임금을 올바른 곳으로 인도하면 나라가 평한해지기를 믿었던 것 같습니다. 조선의 경우 왕권이 엄청나게 강했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중종의 경우 연산군의 폐단때문에 혁명을 통해 임금의 자리에 올랐기에 늘 불안했고 그를 보위에 올리게 해주었던 훈구파들의 눈치를 살필수 없었던 것 같네요. 저는 읽는 내내 정도전이 떠오르더라구요. 태조와 함께 조선을 개국하였으나 신권정치를 주창했기에 결국 태종에 의해 사라지고 만 비운의 정도전과 조광조가 닮았다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이 책에는 조광조가 과감하게 시행했던 현량과 제도나 향약제도에 대한 이야기도 있어 중고교시절 국사책에서만 배웠던 얄팍한 지식을 좀 더 넓힐수가 있었답니다. 만약 그가 사사되지않고 계속 그의 개혁을 펼칠수 있었다면 과연 조선은 또 어떻게 변화를 맞이했을까를 자연스레 생각해 볼수 밖에 없었답니다.


늘 개혁을 추구하고자하면 기존의 기득권 세력은 두려움을 느끼고 이에 저항하고 갖은 모략을 통해 자신들의 세력을 보존하려고 하는 것처럼 조광조 역시 그런 개혁을 두려워하는 훈구세력에 의해 젊은 나이에 결국 세상을 떠났지만 만약 중종이 정조와 같은 지혜로운 임금이었다면 그에게 더욱 날개를 달아주었을 것 같은데 왕과 신하의 관계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다시 한번 고민해 보게 되었답니다.

 

 

신독을 자신으 좌우명으로 삼았던 조광조. 이상사회를 구현하고자하는 그의 꿈은 절반도 못이루었지만 그의 이름은 수백년이 지난 지금에도 우리에게 회자되는 것을 보면 그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진보이 아이콘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