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와 중국의 위험한 관계 ㅣ 미디어워치 세계 자유·보수의 소리 총서 7
앙투안 이장바르 지음, 박효은 옮김 / 미디어워치 / 2022년 3월
평점 :
요즈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세계가 모두 불안해 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러시아의 침공에 대해 미국이나 유럽국가들과는 달리 러시아에 대한 우호적인 시선을 유지하고 있고 한편으로는 중국의 대만 침공가능성도 뜨거운 논쟁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은 프랑스의 신문매체에서 일하고 있는 저자가 중국의 자본등이 현재 어떻게 프랑스에 침투하여 불법적으로 해킹을 하거나 선진기술을 유출해 가는지를 언급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정치인이나 과학자등 다양한 사람들에게 어떤 식으로 친중국 정책을 펴게 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사람과의 인터뷰를 통해 보여주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우 일대일로를 야심차게 전개하고 있으며 중국제조 2025를 외치면서 세계적으로 팽창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이런 일환으로 프랑스내에서 중국이 유럽내 교두보를 마련하고 있는지 아울러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 역시 프랑스가 주된 거점으로 활용되는지를 심도있게 분석하여 우리에게도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가 자유주의라는 기치하에 매몰되어 프랑스의 안보와 국익을 제대로 수호하지 못하고 중국의 야심찬 야욕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면서 중국의 침투가 단순하게 정부인사나 기업에 국한하지않고 스포츠나 와인등 다양한 방면에서 조심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프랑스가 중국에 서서히 잠식되고 있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는데 우리나라 역시 이를 반면교사로 삼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중국과 협력을 하고 대부분의 국가들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무시할수 없기에 중국과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있지만 중국 대부분의 대기업은 대부분 중국정부의 소유이며 미국이나 유럽등에서 다양한 해킹이나 스파이 혐의로 중국인들이 체포되었던 사례를 보면 우리나라의 기술유출이나 중국자본의 한국기업의 인수등에는 좀더 국익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특히 통신, 에너지, 바이오 산업등은 국가의 보안에도 지대한 영향을 주고 정보가 곧 돈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기에 우리나라 역시 중국의 해킹활동에는 국가적으로 인력을 강화하여 지속적인 감시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