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전쟁 - 2022년 대선과 진보의 자해극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카로운 시선과 탁월한 인물비평으로 유명한 강준만교수의 이번 책은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진보의 패배로 끝난 시점에서 현재 진보의 문제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가하고 있네요.

 

이른바 민주화세대였던 그들이 어떻게 내로남불의 정치로 이번 대선에서 패배에 처했는지를 현 정권과 이제 5월이면 여당에서 야당으로 바뀌는 기존 진보의 문제점을 포함해서 현정권의 대통령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패배한 이재명 대선후보에 대해까지 통렬하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있답니다.


이번 대선의 경우 특히 두 후보간의 득표율의 차이가 거의 나지않았기에 많은 언론에서 걱정하는 것이 둘로 나뉜 대한민국의 표심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후보를 강성지지하는 세력을 보면 여전히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표심은 기존의 더불어민주당의 부동산 정책등의 실패에 반감을 가졌거나 국민의 힘의 대안없는 반대에 대해 싫증을 느끼면서 선거의 특성상 차선으로 두 후보에게 표를 준 사람도 상당히 많은게 사실이기도 합니다.


아울러 이 책에는 현대통령의 국정말기에도 여전히 40프로 정도로 유지되고 있는 임기말의 인기도의 원인에 대해서 몇가지 분석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흥미로웠고 이번에 경기도지사 후보로 국민의힘의 경선에서 떨어진 유승민 후보와 박근혜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한번 짚어보고 있는데 이 부분도 기존에 제가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이라 재미있게 다가왔습니다.


그러고보면 이제 또 6월 지방선거가 남아있기 때문에 양 기존 정당이 안심할수 없는 상황이고 이미 대통령 당선자가 나왔기 때문에 국민여론도 이제는 선거 결과에 승복을 하고 대한민국이 분열이 아닌 통합의 길로 나아가길 모두가 바랄 것이며 저자 역시 그런 심정임은 분명해 보입니다.


저자가 이야기 하였듯이 우리가 무엇과 왜에 너무 집착을 하다보면 어떻게라는 부분을 놓치기 쉬웠으며 현 문재인 정권이나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초반 지지에도 불구하고 초라한 성적을 거둔 걸 보면 명분이나 정책에 대해 어떻게 상대방과 적절히 타협하고 국민을 설득시킬 것인가에 실패한 것이라고 봅니다.

 

이제 가정내에서도 종교처럼 정치는 민감한 부분이 되었고 일상적 삶에서 정치전쟁을 슬기롭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저자는 관용적 타협을 제안하고 있고 중도의 의미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짚어보면서 양시양비론이 과연 잘못된 논리인가도 우리가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