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 : 동굴 신화와 열 가지 에피소드 ㅣ 지양청소년 과학.인문 시리즈 3
에티엔 가르셍 지음, A. 단 그림, 이성엽 옮김, 허경 감수 / 지양사 / 2022년 4월
평점 :
철학하면 일단 이해하기 어렵고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긴한데 만약 철학을 이야기 방식으로 그리고 만화의 방식으로 풀어본다면 독자들이 더 흥미를 가지고 철학에 접근할수 있지않을까요? 이 책은 그래서 너무 추상적인 어휘로 나열하는 철학의 이야기가 아닌 누구나 생각해 보곤하는 우리 인간의 자아와 죽음, 정체성 문제등에 대해 이야기로 쉽게 풀어내고 있답니다.
그림이나 영화 그리고 시, 연극등을 통해 열가지의 철학에서 중요한 에피소드를 이야기로 끌어들여 우리에게 지적인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과연 우리가 보는 세상이 실제 세상인지 그리고 지금 타인에게 비치는 내 모습은 진정한 나인가등 누구하 한번쯤은 고민해 봤을 주제를 흥미롭게 전개해 주고 있네요.
매트릭스와 같은 영화이야기도 나오고 카프카의 변신과 같은 문학이야기도 나오고 그림, 영화, 시, 연극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끌어들여 철학을 보다 더 쉽게 우리가 만날수 있도록 배려를 해 주어서 너무 좋았답니다.
누구하 한번쯤은 플라톤의 동굴 이야기에서부터 이 책은 시작하는데요. 우리가 지금 느끼고 있는 감각의 세계는 마치 동굴속에 앞만을 보게된 사람들이 보는 세계와 같으며 그래서 그 너머에 있는 진실을 보여줄수 있도록 우리를 인도하는 사람이 철학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고대의 철학자들이 어떻게 보면 일반인들과는 달리 보다 근원적인 것을 찾고자 했기 때문에 대중들과는 너무 괴리된 느낌이었다면 지금은 철학이 우리 실제 생활와 더욱 연결되어 있고 철학자는 단지 철학자로만 존재하는 경우가 아닌 소설가 또는 정치가 또는 의사로도 이제 존재하고 있죠.
기원전부터 인간은 정말 자신에 대한 끊임없는 정체성 문제에 대해 의문을 품어왔고 때로는 타인과의 관계로 또는 신과의 관계로 인간의 실존문제나 정체성 문제를 풀어내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 인간은 인간의 관점에서 세계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우리는 우리가 세상의 중심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지만 세계가 우리를 마음대로 할수 있다고 생각을 하면 더욱 겸손함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 것 같습니다.
소크라테스, 니체, 파스칼, 사르트르등 철학과 관련하여 예전에 학교에서 배웠던 철학자들의 사상을 보다 더 쉽게 만화로 풀어내고 있어 그동안 딱딱하게 다가웠던 철학책과는 달리 보다 대중에게 쉽게 다가오는 만화형식의 철학책이라 부담없이 읽어낼수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