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부엌 - 딸에게 건네는 엄마의 따뜻한 위로
진채경 지음, 선미화 그림 / 시그마북스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집밥 특히 엄마가 해주는 집밥의 경우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음식이고 어른이 되더라도 그 맛은 잊을수가 없죠. 저의 경우도 고교시절부터 집에서 떨어져 생활하다보니 지금도 엄마가 해주시던 밥이 너무 그리울때가 많습니다. 지금은 명절이나 가끔 고향에 내려갈때 늙은 어머니가 해주시는 집밥을 먹을수 있지만요.

  

가족 또는 식구라는 의미에서 우리는 밥을 같이 먹는다는 것이 가족의 의미임을 알수가 있고 저자의 경우도 엄마가 해주시던 다양한 음식들이 그리운 것 같습니다. 지금은 저자의 어머님께서 치매?로 맛있는 집밥을 해주실수는 없는 형편 같고 이제는 저자가 때로 음식을 장만해서 어머님댁에 가져가는 것 같은데 이런 저런 요리를 하면서 엄마와 함께 했던 어린 시절의 추억이 떠오르는 것은 어쩔수가 없는 것 같네요.


저자의 어머니는 음식에도 상당히 건강의 중요성을 고려하신 것 같고 아무리 힘들어도 딸들이 맛있게 먹어주는 음식을 늘 해주셨던 것 같아요. 엄마의 정성이 담겨있기에 더욱 맛이 있었을 것이고 봄, 여름, 가을, 겨울 제철 식재료를 사용해서 천연조미료만을 이용한 음식등은 가족들에게 늘 든든함을 안겨주었나 봅니다.


엄마가 소풍때마다 일찍 일어나셔서 해주셨다는 김밥, 그리고 엄마의 특급 레시피로 만들어내는 계란말이, 그리고 기름냄새를 맡아가면서도 온 가족을 위해 준비했던 고등어 구이 등 소박하지만 엄마만의 맛과 정성으로 요리된 음식들은 저자에게는 엄마와의 아름답고 소중한 추억이며 이제는 그 그대로의 맛을 못볼수 없는 것은 안타까움으로 다가오겠죠.


늘 당연하다는 듯이 먹었던 엄마가 해주시던 밥상이 당연한 것이 아닌 온 가족을 위해 먹을 것을 고민하고 없는 살림에도 가족들에게 편안한 집밥을 먹이고싶다는 엄마의 정성이었음을 왜 우리는 어른이 되어서야 생각하게 되는지.


저도 모처럼 고향에 내려간다고 엄마에게 전해주면 엄마는 늘 제가 좋아하는 쌈채소를 잔뜩 준비해 두고 기다리십니다. 제가 무척이나 쌈밥을 좋아해서 늘 시골집에서 기른 상추나 깻잎등을 잔뜩 준비해 주시곤 하죠.

 

 

아무리 밀키트가 잘 나온다하더라도 시장에서 사먹는 반찬이 맛이 있다고 하더라도 엄마의 정성이 가득한 집밥이 그리울때가 많은 것을 보면 우리는 단지 밥만을 먹었던 것이 아닌 가족과의 함께하는 끼니에 들어간 엄마의 정성에 길들여졌기 때문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