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는다는 착각 - 하버드 심리학 거장이 전하는 건강하고 지혜롭게 사는 법
엘렌 랭어 지음, 변용란 옮김 / 유노북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시계 거꾸로 돌리기 시험 연구를 통해 인간의 노화와 고정관념등이 갖는 문제점등에 대해 상당히 인상적인 결과를 얻어낸 하버드대의 저명 심리학 거장이 쓴 이 책을 읽으면서 매우 놀랍기도 하고 흥미로웠으며 그동안 나 역시 그냥 무의식적으로 습관적으로 받아들였던 고정관념이나 분류에 대한 순응에 깜짝 놀라게 되었어요.

 

인간의 노화를 단순히 부정적인 의미로 생각하지말고 변화로 인식하자는 작가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병을 치료하기 위해 찾게 되는 병원에서도 수많은 의료사고나 나고 병원에 따라 병에 대한 진단이 달라지는 것을 우리는 흔하게 발견할수 있죠.


요양원에 가면 모두 무기력한 모습의 경우가 많습니다. 어찌보면 노인을 그냥 환자나 무기력을 갖춘 사람들로 먼저 사전 정의하고 거기에 맞게 대응전략을 짜기에 그런 것은 아닐까요? 스스로 선택을 하게하고 능동적으로 일을 하게 하는 경우 충분히 노인의 경우도 활기차게 살아갈수 있음을 수많은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이 책은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국 우리가 얼마나 의식에 스스로를 집중하고 자신을 분석하고 관찰해야하는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병원을 찾을때 우리 스스로 먼저 감기때문에 병원에 왔다고 하면 의사는 다른 의문을 전혀 제기하지않고 감기라는 가정하에 모든 처방을 내릴 확률이 높죠. 하지만 우리가 감기라고 생각했던 것이 다른 문제라면 또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책에서 인상적이었던 제목은 노인을 위한 배려나 다른 선택의 기회에 우리는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할 생각을 잘 하지 못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자동차에서 옆문을 통해 내리기가 불편한 것을 단순하게 이제 나이들어서 움직임이 둔해서라고 탓할게 아니라 옆문이 아닌 앞문을 만들 생각을 우리는 못했다는 것이죠.

  

노인 인구가 우리나라에도 증가하고 있고 우리들은 나이들면 자연스레 요양원에 가야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그곳에서의 삶이 행복할리는 거의 없어보입니다. 내 자신이 주도적으로 나설수 있고 내가 즐거워하는 것을 제공할 가능성도 없어 보이며 요양원의 경우 관리를 수월하게 편리하게 위해 그냥 맞추어진 공간이나 시스템을 개인의 개별성을 전혀 고려하지않고 추구하기 때문이 아닐까요?


작가가 말미에서 언급하는 다양한 인간관계야말로 나이들수록 더욱 필요하며 나이와 관계없이 가변성을 인지하고 불확실할수 있다는 의문을 늘 제기하며 의식에 집중을 한다면 보다 더 행복한 노후의 삶을 살아갈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