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낼 수 없는 대화 - 오늘에 건네는 예술의 말들
장동훈 지음 / 파람북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카톨릭 사제의 신분으로 미술에 대한 인문학 글을 쓴 작가의 시선이나 생각은 어떨까 무지 궁금했던 책이라 읽게 된 책은 보통의 기존에 읽어왔던 인문학책과는 다른 맛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작가의 신분이 종교의 사제이기도 했고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카톨릭 역사와 연관한 지식으로 미술 작품에 대한 그 나름의 해석을 해주고 있기에 너무 흥미롭고 제게는 신선하게 다가온 책이었습니다.

 

 

문학이나 미술등의 예술은 그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지않을수 있을까? 그리고 더이상 예전만큼의 권위를 못누리는 교회 역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가난한자의 모습을 외면할수 있을까? 이런 화두를 던지는 책이네요.


사실 저도 예술 역시 시대의 아픔이나 울분에 적극 동참해야하고 종교 역시 말이 아닌 실천으로 각 종교의 창시자들이 외쳤던 자비나 사랑을 베풀어야하고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누구보다 더 열심히 들어주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통해 종교개혁 이후 미술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고 화가들 역시 그 시대의 고민이나 갈등의 현장을 피해갈수 없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교황의 권위가 떨어지고 프로테스턴트가 성상숭배를 반대하면서 화가들 역시 기존 교회에 의존했던 생업에서 벗어나 인간 그 자체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로 인해 자화상이나 초상화가 많이 등장했다는 것두요.


늘 작용이 있으며 반작용이 있고 이는 미술사에도 고스란히 벌어진 일이더라구요. 신에 대한 무한한 경외가 아니라 인간의 모습을 그림에 담았던 것은 르네상스나 계몽주의, 종교개혁으로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웠던 것이고 지금의 현재에도 우리는 시대의 고통이나 아픔을 외면한 예술이나 종교는 너무 비현실적인것 같습니다.

  

사제의 신분으로 작가가 바라본 각 시대의 미술작품들. 기존에 잘 알려진 화가들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주류의 변방에서 떨어진 곳에서 자신들의 화풍을 만들어낸 수많은 화가의 작품을 사진으로 접하게 되어 너무 좋았습니다.

제목이 끝낼수 없는 대화인걸보면 우리가 지금 살고있는 코로나 시대의 고통에 대해 종교와 예술은 어떤 고민을 해야할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