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으로 철학하기
김숙 지음 / 프리뷰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가 이세돌과의 바둑대결에서 승리하고 이제 머지않아 소위 자율주행차라는 것이 거리에 쏟아지는 미래가 펼쳐진다고합니다. 이미 산업현장에서는 인간의 일자리를 대신해서 생산에 투입되고 있고 영화를 볼때 흔하게 등장하는 사이보그의 모습들은 이제 새삼 놀라운 일도 아니게 되었지요.


이 책은 로봇, 또는 기계인간등이 언제부터 어디에서 그 시작을 출발했는지를 살펴보고 인공지능 로봇으로 포스트휴먼을 주창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까지를 다루면서 결국 인간의 실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고 더욱 발달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모습과 사이보그인간을 희망하는 일부 사람들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1세기 이제 인간은 불멸이 가능한 신적인 존재가 되고 싶은 욕심을 추구하게 된 것일까요? 물론 로봇이나 인공지능이 가져다주는 편리함과 생산성을 결코 간과할수 없지만 한편으로 이런 로봇들이 사악한 인간이나 도덕성을 갖추지 못한 인간의 손에 들어가 인류에게 재앙을 만든다면 고스란히 그 피래는 우리 인간에게 오는 것은 아닐까요? 특히 군사적인 목적으로 로봇이 이용되는 경우 그런 위험성은 보다 더 크겠죠?


한편으로 저는 인류가 그 어떤 시대보다 반려견이나 반려묘등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면서 서글픈 생각이 듭니다.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서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혹 배신을 당하는 일이 더 많기에 사람들이 사람이 아닌 동물로부터 위안을 받는 것은 아닐까요? 그렇다면 영화에서 나오는 상황처럼 인류는 이제 사이보그를 사랑하고 자신역시 그 사이보그가 되려고 하는 그런 상황이 미래에 펼쳐지는 것은 아닐까요?

 

 

인간이 유한하기에 불멸을 꿈꾸는 것은 한편으로 이해가 가지만 인간이 유한하기에 인간은 더욱 가치있는 삶을 사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인공지능이 생활 깊숙히 일상에서 자리를 차지하고 많은 역할을 과거보다 훨씬 많이 하게 된 이 시점에 우리는 과연 로봇이 인간에게 갖는 의미는 무엇이며 어떤 관계를 설정해야 전체 인류의 미래를 위해 좋은 것일지를 고민해 보면 좋겠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