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사도세자의 부인이자 정조의 어머니 그리고 영조의 며느리였던 혜경궁 홍씨. 그녀는 70넘게 살면서 수많은 풍파를 직접 겪었으며 남편의 죽음과 집안의 몰락을 지켜봐야했고 궁중에 기거하면서 영욕의 세월을 살아야만 했던 여인이었네요.


그녀가 직접 쓴 한중록을 통해 사도세자의 죽음까지는 영조가 너무 사도세자를 어려서부터 사랑하지않았고 이로 인해 사도세자는 다른 것에 빠져들었고 결국은 거의 미친 단계에 이르렀으며 영조의 처방은 불가했음을 그녀도 인정을 하고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그녀는 그녀가 세자비로 간택된 이후로 집안의 흥망성쇠를 다 지켜봐야했고 대비의 자리에 있음에도 그의 아버지나 작은아버지 그리고 동생들이 대신들에 의해 역적으로 몰림을 당하는 것을 지켜봐야했으니 아무리 높은 신분의 그녀였지만 그녀가 할수 있는 것들은 기록은 남기거나 순조나 정조에게 하소연을 하는 것이 다였던 것 같습니다.

 

 글을 통해 정조가 얼마나 그녀에게 효성을 다했는지 그리고 사도세자에게도 정성을 다했는지 알수가 있었네요. 그러나 불행하게도 정조는 혜경궁홍씨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게 되었고 그이후로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에 따라 다시 혜경궁 홍씨의 집안은 폐가가 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그녀는 영욕의 70년 넘는 삶에 정말 회한이 많았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힘있고 지혜로운 왕이라도 결국은 신하들의 말에 미혹될수 밖에 없고 벼슬아치들의 분당싸움은 서로 그 끝을 보기를 계속하였고 그런 논쟁속에 누군가는 유배를 가고 사약을 받게 되었고 또 누군가는 그 덕에 정승에 자리에 오르고. 조선시대 비록 왕권이 강화되었다고 하나 왕의 목숨 역시 당파들의 정략에 따라 파리 목숨 같았다니 참 허망하다는 생각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들더라구요.


그녀는 한많은 궁중생활동안 정말 수없는 슬픈 일을 직접 경험해야했고 이를 기록으로 남긴 것이 한중록이었고 이 한중록은 궁중문학으로서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격변의 시대에 자신의 생명과 아들의 생명까지 보존하기 쉽지않은 시대를 살아야했던 한 여인의 모습을 통해 당시의 조선의 모습을 들여다볼수 있는 흡인력 강한 채이었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