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경험하지않고 남의 경험으로 인생의 맛을 알 수는 없다.

신의 현존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내가 직접 체험하는 것뿐이다. 꿀이 달콤하다는 사실을 아무리 많이 들어봤다고 하더라도 직접 맛을 보기 전에는 그 달콤함을 알 수 없다. 사랑도 마찬가지다. 사랑의 환희나 그로 인한 고통에 대해 아무리 좋은 설명을 들었다 한들 직접 체험해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다. 행복의 원천인 신을 발견하려면 우리 존재의 내면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라는 것이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있는 그대로를 보고 인식하기가 인간에는 연습이 필요하다.

우리 눈에서 두려움과 탐욕의 비늘만 벗겨 내면 우리가 누리고 있는 삶이 곧 하늘의 무한한 선물이며 은총임을 알게 된다. 그
렇게 되면 우리 삶의 매 순간은 축제가 되고 우리 몸의 움직임은 노래와 춤이 될 것이다. 동산의 새와 나비와 꽃 들만 춤추는 게 아니라 사실은 살아 있는 만물이 신의 은혜에 고마워하며 춤을 추고 있지 않은가. - P18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위한다고 하는 것이 나를 위한 것이 아니고 남을 위한다고 하는 것이 꼭 남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은혜를 넓혀 가면 사해를 보호할 수 있고, 은혜를 넓혀 가지 못하면 아내와 자식도 보호할 수 없습니다. 옛 성현들이 보통사람보다 뛰어났던 까닭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은혜를 넓혀 가는 일을 잘했기 때문입니다. - P1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본을 지키면 꼭 해야하는것과 절대로 하면 안되는 것의 경계와 집착이 없어진다.그러나 그러한 기본 혹은 원칙 대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때는 결코 가능하지 않다.

군자는 세상일에 대해 이것만은 꼭 해야 된다는 것도 없고 이것만은 절대로 하면 안 된다는 것도 없다. 단지 의로움을 따를 뿐이다. - P1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고있다는 것이 행하지 않으면 배움의 의미가 없다.

자하가 말했다. "현명한 사람을 현명한 사람으로 대 접하기를 마치 여색을 좋아하듯이 하고, 부모를 섬길 때는 있는 힘을 다하며, 임금을 섬길 때는 몸을
바치고, 벗을 사귈 때는 진실한 말을 한다면, 비록 배우지 않았다고 말하더라도 나는 반드시 그를 ‘배운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_ 「학이」,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