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다 하다 앤솔러지 1
김유담 외 지음 / 열린책들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열린책들 하다 앤솔러지 1 <걷다> 읽고 나서 걷고 싶어졌어요. 무더운 여름이 지나가고 가을이 오기도 했고, '걷다'를 주제로 한 소설을 읽으니까 나가서 걷고 싶고 걸으면서 이런저런 생각도 하고 싶어져요. 오늘은 동네 한 바퀴 걷고 왔습니다. 


열린책들 하다 앤솔러지의 다른 주제도 궁금해요. 먹다? 달리다? 만들다? 울다? 웃다? 또 어떤 주제로 쓴 이야기가 있을까 궁금해서 검색해 보니까 '묻다, 보다, 듣다, 안다'가 있네요. 다른 주제의 단편소설집도 읽어봐야겠어요.


다섯 편의 이야기 중에 '유월이니까'라는 이야기가 제일 기억에 남아요. 가벼운 산책, 운동이 아니라 무덤을 찾아다니며 걷는 사람에게는 어떤 사연이 있을까? 왜 자꾸 무덤 옆을 서성이는 걸까? 궁금해하면서 읽기 시작했다가 점점 몰입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6월이 좋아라고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부터 저도 모르게 눈물이 왈칵 ㅠㅠ 왜 울었는지는 비밀이에요. 이유를 말하려면 너무 상세하게 '유월이니까'에 대해 적어야 해서, 책으로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남의 불행을 듣는 건 어찌 보면 조금 흥미롭기도 하고, 때론 자신의 불행과 비교해 위안을 얻기도 하는 꽤 묘한 악취미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그 불행이라는 것도 너무 속속들이 자세하게 전해 듣다 보면 살짝 피곤해지기도 하고 가끔은 불쾌해지기도 하지요. (p97)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그래도 나는 저 사람보다 나은 상황이잖아라고 생각하며 위안을 얻기도 해요. 나만 이런 건 아니고, 나와 비슷한 사람도 있다는 것에 위안을 얻기도 하고요. 때로는 타인의 불행으로 위안을 얻기도 하지만, 남의 불행보다는 행복이나 만족 등 긍정적인 이야기를 듣는 게 더 좋긴 해요. 불행을 듣다 보면 그 사람의 아픔을 상상하게 되고 같이 마음이 아프고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남의 불행을 전해 듣다 보면 피곤해지기도 하고 가끔은 불쾌해지기도 하나 봐요.



살려고. 기를 쓰고. 걷고. 뛰는 거예요. 죽으려고. 아니고. 살려고. 죽겠으니까. 살려고. (p111)


죽겠으니까 살려고 기를 쓰고 걷고 뛰었던 때가 있습니다. 너무 가슴이 답답하고 힘들어서 혼자 계속 걷고 또 걷다가 뛰었어요. 그렇게 걷고 달리다 보면 후련하다는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그리고 불안, 걱정 등으로 가득했던 머릿속이 비워지는 느낌. 그런 시간들이 쌓여서 또 한걸음 나아가게 되는 거 같아요. 그래서 걷는 걸 좋아하게 됐어요.



'유월이니까' 읽고 나서 이주혜 작가의 다른 이야기도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임선우 작가의 '유령 개 산책하기'를 읽고 나니까 '유령의 마음으로'도 읽고 싶고 이렇게 또 읽고 싶은 책들이 많아져서 좋아요. 한 권의 책을 읽고 나서, 또 다른 책을 읽고 싶은 마음으로 이어지는 게 좋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