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정 밖의 이름들 - 법 테두리 바깥의 정의를 찾아서
서혜진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8월
평점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법률 조력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피해자를 위한 변호사로, 법정 안팎에서 쉽게 지워지는 이들의 회복을 돕기 위해 변론하는 과정과 그 과정 속에서 들었던 생각과 감정들을 담아낸 책 <법정 밖의 이름들>을 읽었습니다. 성폭력,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가정폭력, 아동학대 등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재구성된 이야기를 읽으며 화가 나고 마음이 아팠어요.
실제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한 글인데, 읽으면서 자꾸 소설 속 이야기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진심을 다해 피해자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공론화에 노력하고 있는 서혜진 변호사님이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 또 이렇게 책이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런 이야기를 알게 된 사람들이 작은 힘이나 위로를 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이 재판에 피해자가 존재한다는 것. 그리고 피해자의 목소리가 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반드시 남겨야 했다.
"배심원 여러분들도 혹시 이렇게 생각하시나요? 피해자는 순결하고 문제가 없는 사람, 완벽한 사람이어야 한다고요. 사건 직후에 바로 경찰서로 달려가서 신고했어야 하고, (...) 피해 이후에 사람들과 만나서 웃고 즐겨서도 안 되고, 평생 우울하게 지내야 한다는 생각. 이 모든 조건을 갖추어야 성폭력을 당한 피해자라고 생각하는 성폭력 통념."
피해자는 피해를 당한 사람인데 왜 이런 시선을 견뎌내야 할까요? 책 속에는 이런 말이 나와요. "잘못은 선생님이 아니라 가해자가 한 건데요." 범죄 피해자가 그런 일을 당한 자신을 부끄러워하고 수치스럽다고 괴로워서 죽겠다는 말을 했을 때, 서혜진 변호사님이 건넨 말이에요. 피해자니까 이래야 하고 웃으면 안 되고 밥도 못 먹고 우울해하고 힘들어해야 한다는 건 피해자를 더 힘들게 아프게 하는 게 아닐까요?

피해자가 받았던 고통이 지워지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피해자인 채영(가명)이 그토록 듣고 싶었던 말을 듣는 순간이 채영에게 고통의 시간을 잊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갈 힘이 되면 좋겠어요.

피해자를 위한 일은 정의로운 일이므로 힘들어도 견뎌야 한다고, 좋은 일이고 꼭 필요한 일이니까 조금은 희생해도 되지 않냐는 말을 하는 사람에게 본인을 그러면 조금이라도 희생을 하며 살고 있는지 묻고 싶어요. 좋은 일을 하는 것도 그럴 기운이 있어야 할 수 있고, 모든 걸 다 쏟아부어서 타인을 돌보면 자신은 언제 챙길 수 있을까요? 그렇게 좋은 일을 하는 사람이 있는 것에 감사함을 느껴야 할 거 같은데 저렇게 이기적으로 말하는 사람을 보니까 화가 나요.
"우리는 타인의 고통에 얼마나 귀 기울이는가?"
타인의 고통에 귀 기울이고 따뜻한 손길을 건네줄 수 있는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