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BTI의 의미 - MBTI는 과학인가?
박철용 지음 / 하움출판사 / 2020년 11월
평점 :
품절
MBTI를 처음 알게 된 건 스무살 대학교 상담센터에서 우연히였다.
나를 이해하는 도구로서 매력적이었다. 내 성격의 모난 부분이 잘못된 것이 아니라, 특성일 뿐이라고 말해 주는 것 같았다.
수용 받는 느낌.
내가 무엇에 흥미가 있고 무엇을 잘 하고 무엇에 힘들어 하는지, 해설집을 찾은 느낌.
한동안 MBTI 도구로서 사람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외향형과 내향형, 감각형과 직관형, 감정형과 사고형, 인식형과 판단형. 16가지 유형, 4가지 유형... MBTI로 여러 다양한 사람들을 묶고 나눌 수 있었다. 그렇게 그 틀로 나를,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렇게 틀 안에서 사람을 보면 이해 못할 것도 없었다.
학교 졸업 후에, MBTI 전문교육 받는 게 버킷리스트가 될 정도로 MBTI에 빠져 들었다.
나는 도대체 어떤 유형일까 하면서 MBTI 교육과 서적에 파고 들었다.
사실 무슨 유형이면 어떠한가. 내가 나인데!?! 여하튼 답도 없는(?) 고민을 하면서 자아탐색을 할 수 있었다.
점점 더 MBTI에 대해 알게 되면서, 유형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도구로서 MBTI를 이해하려고 하게 되었다.
가장 똑똑한/유능한/사회성이 좋은/창의력있는/친절한 성격 유형은 무엇일까?
정답은 없다. 유형과 상관없이 성숙한 사람일 것이다.
최근에는 MBTI에 심드렁해져 있었는데, 내용을 다시 정리할 수 있어서 유익했다.
특히 F지표가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 감정, 인류애와 연관된다는 것은 내게 새로웠다. 그냥 감정이 많은 유형이 아니라, 추상적 감정이 많은 유형이라는 것이다. 개인의 경험에서 느끼게 되는 정서가 아니라, 측은지심이나 수오지심 등과 관련 있다는 것이다.
MBTI의 장점이자 단점인 것이 병적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서에서는 이를 단점으로 보고 개선할 수 있는 제언을 한다. 제언은 신선하게 느껴졌지만, MBTI는 MMPI처럼 정신병리를 확인해 주기보다는 자기이해와 타인이해, 성격유형별 의사소통 수준에서 작동되는게 더 의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정신병리적인 측면까지 함께 했을 때 이득보다 실이 많은 것 같다.
아마도 병적으로 보지 않는 측면 때문에 대중들에게 이토록 인기가 많은 것이 아닐까? 그런 생각 :)
흥미롭게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