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 - 임세원 교수가 세상에 남긴 더없는 온기와 위로
임세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세상에 없지만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그의 이야기, 죽고 싶은 사람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핍의 위로 - 흐린 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
장일 지음, 남수현 그림 / 넥서스CROSS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핍의 위로

 

부제목, 흐린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그 동안 읽었던 신앙 에세이 중에서 가장 말랑말랑 책인 듯 하다. 목사님이 쓴 책인데도 그런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목사님이 넷플릭스를, 아프리카를, 여행을, 주식을, 세월호를 이야기한다는 게 신선하게 느껴졌다. 입체적으로 자신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내게는 소위 "있는 척"하지 않는 것처럼 느껴졌다.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만큼 더 강력한 것이 어디 있을까. 그래서인지 더 와 닿았다.

 

 

크론병을 안고 살아간다는 것은 어떠할까. 감히 상상할 수 없다. 책에서 담담히 전해지는 아픔, 고충, 그러면서도 그 속의 삶이 절절히 느껴졌다. 중요한 것은 삶의 조건이 아니라, 삶의 자세란 생각도 들었다.

 

 

병이 나의 삶을 잠식하지 않도록 두는 것.

 

나의 한계가, 나의 결핍이 삶을 망가뜨리게 하지 않는 것.

 

 

남과 비교할 수록 초라해지고 우울해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그렇게 나 자신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걸까. 어째서 비교의 레이스를 올려두어서 스스로를 괴롭히는 걸까.

 

 

나의 인생의 종말(죽음)을 기억하며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해 나가야 하겠다.

 

 

<공포의 해이가르> 이야기는 나의 한계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 같다.

 



 

폭풍 가운데 벼락을 맞고 자신이 탄 배가 좌초되자 하늘이 향해 신을 원망하며 외친다. "왜 하필 저입니까?(Why me?)". 그러자 신이 이렇게 되묻는다. "왜 넌 안 되지?(Why not?)"

 

 

 

나 자신의 한계를 느끼는 것은 결국 더욱 존재론적 의미를 추구할 수 있다는 것..

 

신에게 원망하기 보다, 그럼에도 감사할 수 있는 은혜가 내게 임하기를 간절히 바래본다.

 

 

갑작스러운 병이나 시련으로 힘든 시기를 보내는 사람이나, 이 시대를 살아가는 크리스찬 누구에게나 권하고 싶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종교 #결핍의 위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핍의 위로 - 흐린 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
장일 지음, 남수현 그림 / 넥서스CROSS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핍의 시대, 1독을 권합니다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만큼 더 강력한 것이 어디 있을까. 그래서인지 더 와 닿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다 쿠팡으로 출근하는 목사 - 목사 안 하렵니다!
송하용 지음 / 한사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쿠팡과 목사'님'도 아니고 '목사'의 조합

부패한 교회 현실을 고발하는 이야기일까, 아니면 사람들 속에서 목회를 실천하는 목사님의 이야기일까, 궁금했다.



 

저자 송하용님은 책에서는 하나님을 가린 우상을 버린 사람의 이야기, 우상을 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한 사람의 그저 그런 이야기라고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는 나의 인상은 신랄하고 발칙하다는 느낌이다. 책으로 나오기까지 어느 정도 정제된 내용이 되었겠지만, 그래도 날 것의 형태.

 

내가 이해한 바로는 이 책은 교회현실을 고발했다기 보다 한 개인의 인생에 대한 고군분투기 같다.


아무리 교회가 타락했다고 하지만, 아직 목회의 길을 가는 사람들의 첫 시작은 하나님과의 만남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크리스찬으로서 그렇게 믿고 싶은지도 모른다. 내 주변의 목회를 선택하려는 사람들은 그러했고, 목사가 되는 길이 무슨 큰 부귀영화를 누린다고 하나님을 믿지 않고 소명 의식을 없는 자가 선택할까 하는 의문이 든다.

물론 100% 순수하지는 않을 수 있다. 소명의식 + 자기 욕심이 섞일 수는 있을 것 같다. 첫 시작을 하나님의 부름으로 순수하게 출발하였지만, 교회의 세속화 등으로 인해 중심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초반까지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의문은 하나님을 만난 분일까 였다. 아니다 다를까 뒤에 이에 대한 고백이 나온다.


충격이었다.

하지만 이내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가 경제적 안정을 위해 사회적 권력을 위해 등등의 이유로 어떠한 직업을 택한 사람을 <존경은 하지 않더라도> 욕할 수 있을까. 목사를 하는데 있어서도 이것이 적용된다는 게 꽤나 씁쓸하기는 하지만 말이다.


이렇게 솔직하게 글을 쓴다는 것도 대단한 용기가 필요한 것 같다. 나름대로 울분이 쌓여서 토해 내듯이 글을 쓴 것 같은 느낌. 진정 하나님을 만나고 싶은 갈망.


그리고 마침내 아이러니하게도 목사의 자리를 떠난 뒤, 그것을 얻게 되었다. 하나님은 그렇게 이 분을 만나 주신 것일까. 지금 나의 삶의 방식은 괜찮은가. 숙연해 진다.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쩌다 쿠팡으로 출근하는 목사 - 목사 안 하렵니다!
송하용 지음 / 한사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침내 우리는 신 앞에 홀로 서게 된다. 우리 모두 생각해 볼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