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숙빈 - 숙종시대 여인천하를 평정한 조선 최고의 신데렐라 숙빈 최씨
김종성 지음 / 부키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저자의 <왕의 여자>를 읽다가 보게 된 최숙빈의 일화. 몇 줄 안 되었지만 기억에 또렷이 남았고, 이 여인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 싶었다.

 

 

극적인 신분 상승의 주인공 최숙빈은 숙종의 후궁으로, 영조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이 사실 이상으로 최숙빈이라는 인물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는 크지만 남겨진 사료와 이에 대한 연구는 변변치 않다. '드라마 동이'의 동이란 이름도 허구고, 출생지는 물론 무수리라는 신분도 추정일 뿐이다.

 

 

그럼에도 저자가 이 여인의 삶을 끌어다 책으로 재탄생시킨 이유가 무엇일까. 첫 장에 잘 나와 있었다. 최숙빈이 태어난 조선 후기는 서민들의 변화가 격동적인 시기였다. 부농, 부상들을 주도로 많은 서민들은 사회적으로는 신분 상승의 꿈을 실현했고, 문화적으로는 그들 본유의 서민 문화를 가꾸어 즐겼다. 그렇지만 정치적 진출은 예외였다. 최숙빈을 제외하고.

책에서는 고아 출신 궁녀로 어린 나이에 입궁하여 왕의 어머니까지 된 이 여인을 '걸어서 하늘까지 올라갔다'고 표현한다.

 

 

이 여인의 무엇이 조선의 예외를 무너뜨렸는지, 역사적으로 재조명할 필요성이 크다. 당시의 기록, 후대 발견된 사료를 바탕으로 저자는 꼼꼼하게 최숙빈과 조선의 정치적 상황을 되짚는다.

 

 

최숙빈은 애기 항아로 궁에 첫 발을 내딛었다. 후에 고종이 들었다는, 왕자 이금(영조)과 최숙빈의 이야기에 추측해 볼 때 최씨는 침방 나인으로 생활했을 것이다. 그 후에야 인현왕후를 모시는 지밀 나인으로 중궁전에 배치되었는데, 두 사람의 인연은 여러 가지로 최씨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최씨와 숙종의 만남를 기록한 일화를 볼 때, 그녀가 얼마나 인현왕후를 따랐는지를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씨의 의리있는 성품에 숙종은 반했고, 최씨는 숙종의 신임을 받게 되면서 인현왕후와 서인 세력의 복귀를 도울 수 있었다.

 

 

최숙빈은 당쟁의 흐름을 아는 사람이었다. 치열한 궁 안에서 의탁할 곳 하나 없었던 그녀는 자신과 아들 연잉군을 보호하기 위해 당파를 이용해야 했다. 최씨는 정치적 색을 띠지 않은 무소속의 신분으로 서인의 편에 가담했고, 이는 당쟁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장희빈 사사에 기여했던 것이다.

 

 

책에서는 당시의 당쟁사를 전반적으로 보여주며 남인과 서인의 대결에서 서인이 최종 승리를 거두게 된 뒷배에는 최숙빈의 간접적인 역할이 숨어있었음을 말해준다. 최숙빈의 역할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어머니의 방식을 보고 자란 영조도 노론의 힘에 의존해 목숨을 보존하여 마침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실제로 영조의 통치 스타일에서 최숙빈의 영향력을 볼 수 있다. 노론 정권을 통치 기반으로 삼았지만 탕평책을 실시한 균형 잡힌 왕이었다.  

 

이렇듯 최숙빈은 현명하면서도 영특했다. 그러나 장희빈이 죽고 난 후 그녀의 인생도 실상 내리막길이었다. 숙종이 후궁이 중전의 자리에 오르는 것을 이후 금하게 한 것이다. 최숙빈은 오래도록 아들과 떨어져 지내야 했다. 그렇게 외로이 지내다가 함께 살게 되었는데, 얼마지 않고 병이 들어 끝내 눈을 감게 되었다. 너무 젊은 나이였다.

 

 

훗날 우여곡절로 왕위에 오른 영조는 어머니를 왕의 후궁이 아닌 왕의 어머니로 기억되고자 온 힘을 쏟는다. 근 30년 동안의 반대를 무릅쓴 추숭 사업 끝에 최숙빈의 '소령묘'도 '소령원'으로 격상되는데, 이 때 영조가 남긴 묘갈을 보면 영조의 심정을 엿볼 수 있다.

 

 

 

아! 이십 오년 동안 애쓰신 은혜에 만분지일이라도 보답할 수 있을 듯하다..........붓을 잡고 쓰려 하니, 눈물 콧물이 얼굴을 가린다. 지난날을 추억하노니, 감회가 갑절이 되는구나.

 

 

 

최숙빈을 통해 조선 후기 정치를 새롭게 조명한 책이다. 조선의 격동기를 잘 이끈 성군 영조와 정조가 최숙빈의 대에서 나오게 되었으니 최숙빈이야말로 정말 걸어서 하늘까지 오른 여인이 맞다! 몇 구절 안 되는 기록으로 이만한 책의 분량이 나온 것은 이 여인이 한국사에 있어 반드시 살펴볼 가치 있는 사람이란 뜻이기도 할 것이다. 뜻깊게 본 책이었다.(그래도 은근히...아니 좀 많이 남는 것은 생생히 기록되지 않은 역사에 대한 아쉬움...)

 

 

최숙빈을 기억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