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브릿지 ㅣ 우리학교 소설 읽는 시간
문경민 지음 / 우리학교 / 2025년 1월
평점 :

'슬픔은
건너가는 것이라는 걸'
⠀
꿈을 향해 달리던 기억 있으신가요?
좋아서, 즐거워서 시작했던 일이
어느 순간 부담과 스트레스가 되어
자신을 덮칠 때가 있지요.
⠀
가족과 친구,
일상의 작은 균열들로 인해
꿈이 흔들리고
마음이 무너질 때도 있습니다.
⠀
슬픔의 순간,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
⠀
열여덟 예고 재학 중인 첼리스트 인혜.
군색한 집안 형편, 애매한 재능.
입시를 앞두고
첼로에 대한 고민만으로도 벅찬데
늘 따스하게 보듬어주던 할머니의 갑작스러운 죽음까지
슬픔, 죄책감, 좌절감으로
인혜의 꿈과 일상에는 금이 가기 시작합니다.
⠀
⠀
⠀
'내가 정말 첼로를 좋아하기는 할까?'
⠀
초등 3학년,
할머니와 들어가 본 악기사에서
처음 첼로를 마주한 인혜.
⠀
현의 무게를 버티다 휘어진 브릿지를 선물 받고
그때부터 오직 '첼로'라는 꿈을 향해 달려온 아이.
⠀
작지만 현의 무게를 떠받치고
첼로의 모든 떨림을 전하는 브릿지처럼
꿈의 무게를 버티며 나아가던 인혜는
이대로 휘어지고 마는 걸까요?
⠀
⠀
⠀
📖
"현의 장력을 버티고 버티다가
휘어져 버린 브릿지가 안쓰러웠다.
휘어버린 브릿지는 인혜와 첼로를 이어 준 첫 번째 다리였다."
📖⠀
"혼자가 되면서까지
첼로에 쏟아부은 노력이 인혜를 배반한 듯 하다.
상처만 남은 충성을 계속 이어가는 건
어찌 보면 바보짓이 아닐까."
📖⠀
"인생 길다. 사람 일은 모른다. 넌 아직 어리다.
좋아하는 거 하다 보면 길도 보인다. 뭘 하든 열심히 해라.
몸 건강, 마음 건강이 제일 중요하다.
공부 잘해 봐야 아프면 다 소용없다, 그런거.
할머니가 만날 하던 얘기."
⠀
⠀
⠀
'우리 청소년 문학의 진실하고 단단한 목소리,
<훌훌> <열세 살 우리는>의 문경민 작가가 들려주는
멈추지 못할 꿈에 대한 이야기.
⠀
<브릿지>는 자신만의 꿈을 향해 나아가는
모든 십대가 맞닥뜨리게 되는
바로 그 순간에 관한 이야기이다.'
⠀
"슬픔을 건너가는 이야기를 쓰고 싶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사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었어요."
_작가의 말 중에서
⠀
⠀
⠀
담담히 흘러가는 이야기 속에
등장인물들의 희노애락과
꿈과 인생이 모두 담겨 있어요.
⠀
우리는
잠시 휘어질 수도 흔들릴 수도 있다고
무너지면 다시 일어서면 된다고
괜찮다고 말해줍니다.
⠀
슬픔의 터널을 건너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
따뜻한 손을 내밀어주는 이 책을,
여러분도 펼쳐보시면 좋겠습니다.
⠀
⠀
⠀
인혜:
"할머니는 자기 자신을 사랑해요?"
⠀
할머니:
"어렵지."
"딱하고, 한심하고.... 장하긴 해.
그렇다고 사랑스러운지는 모르겠네."
⭐⠀
우리는
딱할 때도 한심할 때도 있지만
그래도 장합니다.
그리고 아마도
아주 사랑스러울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