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개츠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영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등학교 3학년 때 산 책을 이제야 읽었다. 읽어야지, 읽어야지 했는데도 이때까지 못 읽은 이유가 있다면, 그건 이 책이 재미가 없어서가 아니라 단지 내가 산 책이라서이다. 언제든 읽을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한 번은 이 책을 읽으며 감자를 삶다가 물이 다 졸아버린 적도 있는데, 그래놓고서도 다 못 읽었다. 그래서 이번 겨울 방학 때는 꼭 읽겠노라 다짐하고서 책을 꺼내들었다.

  이 책은 내가 평소 좋아하던 소설가 김영하의 번역본이다. 『위대한 개츠비』는 어쩐지 김영하의 소설들과 비슷하게 도시적이면서 세련된 느낌을 준다. 또한 피츠제럴드의 낭만적인 문체가 가져다주는 묘한 절제와 흥분이 아슬아슬하게 줄타기하는 느낌이 있다.

  사람들은 이 작품에 대해 낭만적인 문체로 묘사, 전개해나갔다고 하지만 피츠제럴드가 보여주는 묘사는 자연과 도시가 어우러져 있어 더욱 훌륭하다. 즉 피츠제럴드의 낭만적 문체에는 자연과 도시, 그리고 사람을 아우르는 무언가가 있다.

 

  이 소설은 사랑의 가면을 쓴 욕망의 화살들로 이루어져 있다. 개츠비라는 한 남자가 자신이 가지고 싶은 위치에 대한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가, 그것이 한 여자에 대한 사랑으로까지 침범한 것이다. 여주인공 데이지는 부잣집에서 태어나 사치를 즐기지만, 곧 그 사치의 밑바닥에는 돈에 의한 안정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녀는 모두를 사랑했지만, 돈을 가장 사랑했던 것이 아닐까. 데이지의 남편 톰은 끝없는 우월감으로 무장되어있지만, 그것은 곧 소유의 욕망이라는 발톱을 드러낸다. 그는 사람을 소유하는 것뿐, 쉽게 사랑하지 않는다. 중간중간 드러나는 닉과 조던의 지루한 로맨스(그러나 결코 지루하게 쓰였다는 뜻은 아니다. 훌륭하고 또 맛깔나게 쓰여있다. 단지 그들의 로맨스의 본질이 지루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도 볼 만하다. 모든 인물들의 공통점은 두려움이다. 이 모든 것을 잃게 된다면. 혹은 하나를 잃음으로써 모든 게 쓸모없어진다면.

 

  내가 이 소설에서 가장 흥미롭게 읽은 인물은 닉 캐러웨이다. 이 소설의 화자인 닉은 모든 인물들을 같은 높이에서 바라본다. 그의 시선에서 모든 등장인물들은 아름답다가, 멍청하다가, 또 매력적으로 보인다. 이는 피츠제럴드가 어떠한 인간상을 두고 찬양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물론 제목은 위대한 개츠비지만. 그가 개츠비를 찬양한 걸까?)

 

  "아, 기억나요?" 그녀가 덧붙였다. "언젠가 운전에 대해서 말한 적 있잖아요."

  "네…… 정확하지는 않지만."

  "나쁜 운전자는 다른 나쁜 운전자를 만나기 전까지만 안전하다고 당신이 그랬잖아요. 그러니까 나는 나쁜 운전자를 만났던 거예요. 안 그래요? 내 말은, 내가 경솔하게 혼자 내 멋대로 억측을 하고 있었다는 거예요. 난 당신이 좀더 꾸밈없고 정직한 사람이라고 생각했었거든요. 당신도 남몰래 그렇게 자부하고 있다고 생각했죠."

  "나는 이제 서른이에요." 내가 말했다. "스스로를 속이고 그걸 자랑스럽게 생각할 나이는 오 년 전에 지났어요."

  그녀는 대꾸하지 않았다. 화가 나서, 그리고 반쯤은 그녀에게 애정을 느끼면서, 그리고 막심한 후회를 하며, 나는 몸을 돌려 그 자리를 떠났다.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中

 

  이렇듯 닉은 스스로의 모습도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그는 자신을 성인군자, 혹은 진정한 의리의 사나이로 만들 생각이 추호도 없다. 그래서 더 매력적이고, 그래서 더 차갑다. 이렇게 차가운 인물이 끝까지 개츠비 곁에 남은 유일한 인물이라니. 아이러니하다.

  인용문에 덧붙여 이야기하자면, 닉이 자신을 서른이라고 자각하는 장면은 솔직히 웃음이 터질 정도로 어이없는 장면이다. 이 소설의 하이라이트라고 볼 수 있는, 감정이 격해진 장면에서 그는 "아니…… 방금 기억났는데, 오늘이 내 생일이야."라고 어찌 보면 뜬금없이 말한다. 이는 단순한 유머가 아니다. 개츠비와 데이지, 그리고 톰과 조던을 만나면서 벌어진 한여름의 사건을 겪으며 닉은 인생의 한 터닝포인트를 맞이한 것이다. 그는 자신이 서른임을 자각하며, 이 소설 이후의 삶의 태도가 달라질 것을 암시한다.

 

  연애소설이면서 미스테리하고,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반쪽짜리 이상의 영광을 낱낱이 드러내는 이 소설은, 한 마디로 절묘하다. 그의 낭만적이면서 세련된 문체는 매혹적이다. 헤밍웨이와는 대척점에 있는 느낌. 그의 탁월함은 단편소설에서도 잘 드러난다고해, 이번에 민음사에서 나온 쏜살문고 『리츠 호텔만 한 다이아몬드』를 구입했다. 조만간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