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울과 불안을 이기는 작은 습관들 - 우울과 불안을 끌어안는 심리학
임아영 지음 / 초록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저자 임아영은 보건복지부 공인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을 취득한 임상심리전문가 이다.
저자가 심리학을 공부한 이유는 ‘사는 게 괴로워서, 고통의 이유를 알고 싶어서’라 한다.
공부를 함으로써 그 이유를 알게 되었냐는 것에 대해선 실패했다라 말한다. 그 고통이 어디서 오는지 명징한 이유는 알지 못하더라도 그럭저럭 관리하며 살아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 원인을 밝혀내 뿌리를 완벽하게 제거해야만 제대로 살 수 있을거라는 환상을 내려놓으면 된다.
작가가 공부하면서 느끼는 세상에는 힘든일만 있는 것도 아니고, 어떤 날은 조금 더 행복하고 더떤 날은 조금 더 불행하기도 한 것이다.
작가는 끝날 것 같지 않은 심리적 고통 속에서 길을 헤매고 있다면, 이 책을 읽고 부정으로 기울어진 삶의 무게추를 점차 회복하고 저마다 적당한 균형점을 찾게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수시로 불안과 우울은 동시에 올 수 있다고 한다. 이는 같이 오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일상생활이 힘들 정도로 우울과 불안을 강하게 느끼거나 이것이 만성적으로 지속된다면 이는 일종의 정신질환으로 봐야한다.
우울과 불안에 취약한 사람들의 대표적인 인지적 공퉁점 중 하나는 바로 생각이 많아도 너무 많다는 것에 있다.
만약, ~ 하면 어쩌지 라는 걱정에 사로잡힐 때는 먼저 내가 스스로 굴레에 빠져들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내가 걱정하는 것은 추상적인 생각일 뿐이다. 추상적 언어의 포장지를 벗겨내고 두려움의 실체를 마주하는 질문을 던져본다. “지금 나는 무엇을 피하고 싶은 건가?”
누군가 정서적 고통을 많이 느끼는 이유는 우울과 불안에 취약한 유전적 소인, 인지적 특징, 뇌의 구조적 생리적 기반, 부모늬 양육방식, 각종 스트레스와 그에 대한 대처 방식 등이 모두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한다.
이에 우울과 불안에 대처하는 우리에 자세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은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구분하고 바꿀 수 있는 것은 한 가지씩 실천해 나가는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아주 작은 소소한 작은 습관들이 얼마나 생산적이고 효과적인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내가 내 의지로, 나를 위해서 이 행동을 스스로로 한다’는 감각을 익히고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우울하거나 불안한 마음이 들때면, 이들을 손님처럼 맞이하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 나를 외면하지 않고 나를 돌볼 수 있는 것, 그게 바로 나 자신 스스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한 느낌을 썼습니다.